치매안심센터 지역사회협의체와 협력 통해 '사각지대' 해소
치매안심센터 지역사회협의체와 협력 통해 '사각지대' 해소
  • 조재민 기자
  • 승인 2018.09.14 17: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환자 발굴 사각지대 해소와 지역민 협력 등 장점 다양

 

치매안심센터가 지역사회와 협력을 통해 홍보활동과 치매환자 발굴 등 사각지대 해소에 집중하고 있다.

향후 커뮤니티케어 등 치매환자와 연관 깊은 정책이 이어질 예정으로 지역사회 인프라 활용에 선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4일 치매안심센터들에 따르면 지역사회협의체를 구성하고 운영에 들어가는 곳이 늘고 있다. 

협의체는 지역사회 치매관리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치매관련 전문가의 자문, 유관 기관·단체의 협력 및 지원을 통한 치매자원 발굴, 다양한 자원 간 연계·협력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

복지부는 치매정책 지침을 통해 지역사회협의체를 필수적으로 구성토록하고 이를 활용해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치매 친화적 환경을 조성토록 했다.

위원장 1인을 포함한 5인 이상의 위원으로 구성되는데 민간부문 위원의 경우 치매관련 각 분야의 전문가, 치매 관리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단체 중 지역주민 욕구를 대변하는 자로 한다.

치매안심센터 관계자는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유도해 부정적 인식을 바로잡고 치매예방에 관한 접근성을 높여 치매로부터 안심할 수 있는 시를 만들기 위해 유기·적극적인 위원회 운영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향후 치매복지사각지대 해소와 지역사회 의료복지자원 정보 공유 등 치매 관리 사업을 위한 활발한 활동까지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현재 치매안심센터 개소가 계속해서 늦어지고 있어 협의체의 구성도 지연되고 있는 상태다. 또 연 2회로 한정한 회의 횟수에 부족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보건복지위원회 자유한국당 김승희 의원이 복지부로 제출받은 ‘2018년 6월말 시도별 치매안심센터 운영 현황’자료에 따르면 치매안심센터 256개소 중 79개소만 정식개소가 진행됐다.

정식 개소율을 보면 30.9%에 불과했고 인력과 시설도 미비한 곳이 많은 것으로 파악돼 지역사회화 협력체계 인프라를 구축할 지역사회협의체의 구성은 늦어지고 있다.

의료계 관계자는 치매안심센터의 정식개소 지연이 차후 이어질 커뮤니티케어 등의 정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조언했다. 

관계자는 “현재 치매안심센터의 정식 개소가 늦어지면서 정책의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치매안심센터보다 더 큰 사업으로 볼 수 있는 커뮤니티케어를 어떻게 진행할지 의문”이라며 “지역사회의 협력구축이 중요한 만큼 좋은 선례를 남기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