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 예산 삭감에 치매신약 개발 '먹구름'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 예산 삭감에 치매신약 개발 '먹구름'
  • 최봉영 기자
  • 승인 2018.11.08 17: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123억원 예산에서 1,719억원으로 감액…선택과 집중 필요

1조원 이상이 투입될 예정이었던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 예산이 대폭 삭감될 것으로 예고됨에 따라 정부 주도 치매신약 개발 계획에도 먹구름이 꼈다.

예산과 함께 사업기간까지 단축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어 개발 계획에 대한 전면 수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마치고, 내년 3월까지 본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최초 기획했던 사업은 2020년부터 2029년까지 10년 간 1조1,054억원이 투자될 예정이었으며, 비용은 정부가 80%, 민간이 20%를 부담하는 방식이었다.

분야별로 원인 규명 및 예방에 2,091억원, 혁신형 진단 2,109억원, 맞춤형 치료 2,123억원, 체감형 돌봄 1,931억원, 인프라 구축 2,000억원, 운영관리비 800억원 등을 배정했었다.

하지만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2020년부터 2028년까지 기간이 1년 단축됐으며, 사업비도 대폭 줄였다. 치매 원인규명 분야 1265억원, 예측 진단기술 1,286억원, 예방치료기술 1,719억원, 인프라구축 1,258억원 등이 적절하다고 평가했으며, 돌봄 분야 예산은 전액 삭감됐다.

이 중 치매치료제 개발과 관련한 분야는 예방치료기술인데, 예산이 종전 대비 400억원 가량 줄었다. 또 맞춤형치료에서 예방까지 포함돼 실제 신약 개발에 활용되는 예산은 더 쪼그라들 것으로 보인다.

치매치료제 개발과 관련한 원래 계획 목표는 10년 간 논문, 특허 출원 등 실용화 기반을 마련하고, 기술이전 30건 이상, 임상1상 진입 약물 3건 개발 등이었다.

당초 계획했던 2,109억원의 예산 중 치료제 개발과 관련한 정부 예산은 1,300억원 정도였으나, 이번 예산 삭감에 따라 정부 투자액은 1,000억원 아래를 밑돌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이 예산은 2020년부터 9년에 걸쳐 집행되기 때문에 1년마다 배정되는 평균 예산은 100억원 미만이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치매치료제 개발의 최전선에 있는 제약사에 투입되는 비용은 극히 일부분이 될 가능성이 높아 업체들은 정부 지원에 대한 기대조차 안 하는 눈치다.

현재 본평가가 진행되고 있는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은 경우에 따라 예비타당성 조사에서보다 예산이 더 삭감될 수도 있으며, 아예 사업자체가 무산될 여지도 있다.

본평가 결과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정부 주도로 치매신약 개발을 하겠다는 목표 달성에는 할 걸음 더 멀어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