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인프라 꾸준한 투자가 관건…치매환자가 요구하는 정책 살펴야”
“치매 인프라 꾸준한 투자가 관건…치매환자가 요구하는 정책 살펴야”
  • 조재민 기자
  • 승인 2018.11.28 17: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연병길 인천광역시치매센터장-가천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병길 인천광역시치매센터장

최근 인천광역시는 전국최초로 치매안심학교를 탄생시키면서 치매예방관리를 위한 새로운 시스템을 정립시키는 도전을 시작했다.

이를 통해 치매안심마을과 결합하고 단순 치매예방과 인지강화를 넘어 환자와 가족의 통합관리가 가능한 인프라 구축에 앞장서고 있는 것이다.

선도적인 인천지역의 치매관리 인프라 구축 정책은 지역치매정책에 선두에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인천광역치매센터장인 연병길 교수와 관계가 깊다. 

연 교수는 현재는 인천광역치매센터장을 맡고 있지만 지난 2013년까지 서울강동구의 치매지원센터장을 역임하는 등 서울시 치매 인프라 구축에도 앞장섰던 인물이기도 하다.

그만큼 치매관련 인프라에 대한 조예가 깊으며, 중요성을 잘 알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평생을 치매 임상현장과 정책에서 활약한 치매분야의 대가라고 볼 수 있는 셈이다.

디멘시아뉴스는 현재 인천광역치매센터장, 가천대길병원 뇌과학센터장 등을 맡고 있는 연병길 교수를 만나 국가와 지역 치매정책이 나가야할 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Q.먼저 현재 진행 중인 치매국가책임제 등 치매정책에 대해 평가한다면?

결론부터 말하면 부정적 요소보다 긍정적인 부분이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치매국가책임제 이전 제3차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이 시행됐지만 현재보다는 추진력이 약했다. 국정과제로 치매국가책임제가 선정되면서 정책적으로 상당한 추진력을 얻었다. 

하지만 그만큼 해결돼야 할 문제들도 도출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전 지역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인프라 구축이 잘된 서울지역은 자칫 하향평준화를 불러 올 수도 있다. 반면 낙후된 지역은 정책적으로 큰 힘을 얻기고 하고 있다.

인천지역만 봐도 100여개의 작은 섬들이 있는 옹진군의 경우 인력 배치조차 어렵고 접근성도 낮아 다양한 문제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지역 특색이 너무 커서 문제가 생기고 있는 셈이다. 반면 송도 같은 경우는 지역적으로 굉장히 발전에 상황이 극과 극이다. 

결국 두 지역은 각기 다른 치매정책이 펼쳐져야 한다. 송도의 경우는 치매의 조기발견보다 치매예방에 집중하고 옹진군은 치매를 어떻게 발견하고 치료에 접근시킬 수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야 한다. 전문 인력과 시설 등 현장의 문제는 다양해 지역마다 다른 성과를 내고 있어 정책적으로 무르익기까지 시간과 관심이 필요하다.

Q.최근 인천시에서 치매안심학교를 개교했다. 장점과 향후 전망들은?

기존 치매정책들은 치매 환자만을 위한 정책에 쏠렸다. 치매는 증상이 발병되기 대략 20년 전부터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전임상 치매부터 경도인지장애 등 정상인부터 초기치매 환자들은 현재 치매주간보호센터에 잘 다니지 않는다는 점을 착안했다. 그런 분들 치매학교에 와서 가볍게 커피도 하면서 인지건강프로그램을 접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등 일반인의 치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구상했다. 

또 인근지역에 치매안심마을을 구축하면서 마을에 계신 어르신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쉬운 점은 내년 예산이 일부 삭감돼 아쉬움이 있다. 지역 인프라 구축 사업에서 보여주기 식의 정책보다는 장기적인 투자를 통해 인프라를 구축해야 참여하는 방문자들이 늘기 마련이다. 아직은 다소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적극적인 지자체 등의 의지가 필요하다.

즉, 이곳이 활성화되고 성공해야 다른 지역에도 활성화가 될 수 있다. 이번 모델을 안심센터의 모델로 바꿔서 각 안심센터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부분도 고려하고 있다. 그렇기 위해서는 이번 치매안심학교가 성공해야 한다.  

Q.안심센터가 의료기관과 경쟁관계가 형성되고 있는 일각의 비판에 대해서 어떻게 보는지?

본인도 인천지역에서 뇌건강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아무래도 병원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부분들이 보건소 진단 등과는 차별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더 정밀하고 정확한 차별화된 진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신경심리검사, SNSB 등은 보건소보다 병원이 분명히 앞선 부분이 있다. 너무 치매안심센터 등에서 독점하는 부분도 분명히 문제는 있다. 

지역치매안심센터 등도 성과 위주가 아닌 정도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 실제로 분명히 센터에서 성과를 과장하는 부분들이 있다. 전국표준과 비교를 해보면 과장은 분명히 나타나게 된다. 광역치매센터 등이 이런 부분을 관리하고 교육하는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고 본다. 이것들은 정책 구상에 충분히 예상된 부분이다. 앞서 지원센터를 통해 인프라를 구축한 서울도 정책의 정착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다. 각 센터마다 정량적인 부분보다는 정성적인 것들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성과지표가 만들어져야 한다.

Q.치매정책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할지?

현재 치매환자 가족들을 위한 지원 정책은 분명히 미약한 점이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등이 이를 감당하고 있지만 어려운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첫째는 재정적인 부담이 크다는 부분이다. 의료보호자나 기초생활 수급자 이외 차상위 계층에서는 재정적인 부담 등 문제가 분명히 있을 수 있다.

두 번째는 홍보 부족이다. 서비스가 있지만 잘 알지 못하고 있으며, 서비스별로 연계도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과거 사례관리가 중요한 부분으로 강조했지만, 재정적인 부분에 의해 반영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 사회적인 서비스가 잘 이뤄지도록 활성화해야 한다. 

세 번째로는 정신건강복지센터와의 협업 부족이다.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는 치매환자의 정신적인 부분을 감당하는 것이 사업상 내용에 들어가 있지 않다. 마치 치매안심센터 혼자서 필요에 의해 짝사랑을 하고 있는 느낌이다. 분명히 나눠 발전이나 해결 할 수 있는 니즈(Needs)가 있다고 본다. 유기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치매정책은 정부에서 지자체, 치매가족 중심으로 전화되고 있다. 최근 노인정신의학회 국제학회 좌장을 진행할 때 일본의 사례를 듣고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다. 일본의 경우 치매환자가 직접 참여하는 방향으로 이미 흘러가고 있다. 즉 본인이 요구하고 원하는 것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치매환자들과 가족들이 요구하는 부분이 중요하다. 실제 수요자는 치매환자다. 치매환자에 요구하는 정책에 맞춰가는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본다. 예방프로그램도 있지만 부족한 곳을 채워줄 인지 향상 프로그램 등을 많이들 원한다고 느껴진다. 경도인지장애환자는 갈 곳도 부족하고 복지관 등에서 관련 서비스를 진행하지만 역량도 많이 부족하다. 아직 치매관련 정책과 인프라 구축은 갈 길이 멀다.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현재 정책이 치매안심센터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광역치매센터의 역할이 다소 불문명해지고 있다. 행정적으로 추진력을 갖는 것은 분명히 장점이지만 지역사회의 맞춤처방은 광역치매센터가 원활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광역치매센터가 어디까지 뭘 수행해야 하는지 등의 정확한 아이덴티티 (identity) , 즉 정체성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광역치매센터는 지역에서는 없어서 안 될 존재다. 

더불어 치매는 개인이 해결이 어려운 질병이다. 관심을 갖고 국민적으로 참여해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다는 생각이다. 국민들도 관심을 갖고 치매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갖추고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본다. 치매 인프라 구축과 인식개선은 앞으로 모든 국민에게 적용될 수 있는 사업이다. 앞으로 많은 사업에 적극 참여하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됐으면 한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