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안심센터 도시에만 적합, 지방 맞춤형 설계 필요"
"치매안심센터 도시에만 적합, 지방 맞춤형 설계 필요"
  • 최봉영 기자
  • 승인 2019.02.27 16: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방 인력 고용 불안 해소 위해 별정직 채용도 제안

현재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치매안심센터가 도시 기준으로 최적화돼 있어 지방 맞춤형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도시 지역과 지방 상황이 상이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 적용 등이 실제 제대로 되지 않는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최근 보건사회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치매노인과 돌봄 제공자를 위한 맞춤형 정책방안 모색' 연구보고서를 공개했다.

해당 보고서에는 치매안심센터의 상황, 어려움, 정책적 요구 등에 대한 연구도 포함됐다.

결과 도출을 위해 2018년 4월부터 9월까지 치매노인의 공식적·비공식적 돌봄제공자 48명을 대상으로 심층대면조사를 실시하고 질적 자료를 분석했다.

조사를 통해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 현황을 고려한 사업 운영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연구자는 "지방의 경우 인구밀도가 낮다 보니 여기저기 흩어져서 살고 있는 반면 교통시설은 좋지 않아 사업 전개에 어려움을 겪는다"며 "직접 찾아가서 치매 조기 검진 사업을 해야 하는데 보건소의 관련 인력은 부족하다"고 밝혔다.

실제 지방의 경우 서울에 비해 사업이 늦게 시작됐지만, 중앙정부 차원의 평가 등에 있어 시작 시점의 차이나 지방에서 사업을 수행하는 어려움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각 지역 치매안심센터의 상황을 고려한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는 지방의 노인들이 대도시보다 연령층이 높고, 이로 인해 교육 수준이 낮다는 점에서 현재 운영 중인 프로그램 적용이 어렵다는 점 때문이다.

연구자는 "지방의 경우 80세 이상의 고령자나 무학인 경우가 많고, 그러다 보니 글을 못 쓰는 사람들이 많다"며 "이로 인해 서울과 같은 대도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젊고 교육 수준이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인지재활 프로그램 등이 잘 맞지 않는 문제들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지역 현황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사업 수행은 각 센터가 가지고 있는 역량과 연결되는데, 지방도시 같은 경우는 간호인력이나 임상심리사 등을 구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이와 연계된 문제가 또 다시 발생된다.

연구자는 "중앙치매센터의 경우 전문가도 많고 이용할 수 있는 자원도 많지만 지역으로 내려올 경우 전문가도 많지 않고 관련 사업 경험이나 훈련 수준도 높지 않다"고 밝혔다.

지방에 위치한 치매안심센터는 경험있는 전문가 채용도 어려운 상황에서 인력 고용과 신분도 보장되지 않아 인력 채용은 더 어려운 상황이다.

연구자는 "인력 채용을 자율적으로 지자체에 맡겨 진행하다보니 무기계약제, 시간선택제로 인력을 고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용이 불안정하니 오려는 사람도 제한적"이라며 "인력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처우 개선이 필요하고 별정직과 같은 방식이 고려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