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은 왜 힘들까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은 왜 힘들까요?
  • 양현덕 발행인
  • 승인 2019.05.17 14: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연구는 정말 길고도 험난한 길입니다.

많은 치매 환자와 가족들은 지금도 애타게 치매 치료제 소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대한 연구비를 들여 수 많은 연구를 계속함에도 불구하고, 들려오는 소식은 실패의 연속이라 안타까움만 더해갑니다. 그리고 그 실패의 원인에 대하여 매우 궁금해 합니다.

이 칼럼에서는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가능한 쉬운 용어를 사용하여,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의 개발이 왜 어려운지에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아직까지, 알츠하이머병은 단백질의 일종인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가 뇌에 과도하게 쌓여서 생기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수많은 연구들은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를 생성을 줄이거나 쌓인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진행됐습니다.

하지만, 모두 실패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심지어는 기대한대로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를 줄였는데도, 치매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것도 확인됐습니다.

이러한 실패를 설명하는 전문가들의 견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치료 시점이 늦었다는 것입니다. 실패를 거듭해온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연구는 대개 치매가 어느 정도 진행된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그래서, 치매의 전단계로 알려진 경도인지장애 단계로 치료 시점을 당겨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또한 실패를 거듭하고 최근에는 연구를 중단한다는 소식도 발표됐습니다.

2. 뇌에 베타아밀로이드가 쌓여서 노인반(신경반)을 형성하고, 타우 단백질이 뭉쳐서 신경섬유농축체를 만드는 데, 이러한 현상은 치매의 원인이 아니라 세포를 보호하기 위한 결과물이라는 의견입니다.

3. 기존의 베타아밀로이드/타우 가설(아밀로이드 증폭 가설)이 틀렸을 가능성입니다. 베타아밀로이드나 타우 외에 염증과 면역 등 다른 원인이 있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현재 이에 대한 연구가 한창 진행 중입니다.

4. 알츠하이머치매 치료제 임상시험 참여자의 이질성입니다. 알츠하이머치매의 증상을 보이지만, 알츠하이머병이 아닌 경우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는 약제의 효과가 경감되어 나타나 연구가 실패한 것으로 결론이 내려졌을 가능성입니다.

최근에는 아밀로이드 PET영상이 개발되어 부검 없이도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임상 연구에서는 참여 대상자의 동질성(알츠하이머치매)을 높일 수가 있게 됐습니다.

알츠하이머병과 알츠하이머치매의 차이는 아래의 칼럼(‘알츠하이머병’과 ‘알츠하이머치매’는 어떻게 다른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베타아밀로이드 또는 타우 하나만을 목표로 하는 치료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항산화효과, 항염작용을 포함해서 다양한 목표를 함께 공략해야 원하는 치료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견해이며 이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6. 예전 자료를 분석해서 얻은 역학연구 결과와 실제로 임상시험 실행해서 얻는 결과가 다르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역학조사에서 소염진통제, 고지혈증 등의 약을 복용한 사람이 치매에 덜 걸린다는 것이 확인이 돼서, 실제로 임상시험을 통해 확인을 해봤더니, 효과가 없었다는 것입니다. 많은 연구가 이런 운명을 맞이 했습니다.

7. 알츠하이머 동물 실험을 하는 모델의 한계입니다. 임상시험을 하기 전에는 먼저 동물 실험을 하는데, 대개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변형해서 쥐로 실험을 합니다.

알츠하이머병은 초로기와 노인성 치매로 나뉩니다. 대부분이 나이가 들어 생기는 노인성 치매입니다. 일반적으로 초로기 치매는 유전자 변형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의 과생성이 원인이고, 노인성 치매는 베타아밀로이드를 제거하는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매 연구에서 사용하는 알츠하이머 동물 쥐는 노인성 치매 보다는 초로기 치매 유전자 쥐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임상시험은 대부분 노인성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초로기 치매 동물 모델을 사용한 연구에서 좋은 결과가 나와도, 그 결과가 임상시험에서 재현이 되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노인성 치매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나온 결과를 임상 연구에 적용한다면 보다 나은 결과를 기대해볼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위와 같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의 거듭된 실패를 설명할 수 있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정리해봤습니다.

물론 위의 의견이 치료제 실패의 모든 면을 설명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알츠하이머치매의 예방법도 없는 안타까운 현실에서, 획기적인 치매 치료제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 치매 환자와 가족들이 치료제 개발의 어려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