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치매사망률 10만 명당 12.3명…OECD 평균 절반 수준
한국 치매사망률 10만 명당 12.3명…OECD 평균 절반 수준
  • 조재민 기자
  • 승인 2019.09.19 17: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OECD 평균 치매사망률 24.3명…치매관리 수준 상위권 

한국인의 치매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12.3명으로 OECD 평균인 24.3명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OECD 평균 치매 사망률은 2012년 20.4명에서 2016년 24.3명으로 3.9명으로 증가한 반면, 한국은 17.4명에서 12.3명으로 감소해 치매관리가 타 국가에 비해 준수하다는 분석이다. 

19일 OECD 보건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치매관리는 OECD 국가 중 상위권으로 관리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OECD 통계국가 33개 중 10번째로 10만명당 치매 연령표준화에 의한 사망률이 낮은 국가였다. 

이외에 OECD 회원국 중에서 치매에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이 가장 낮은 국가는 터키(0.6명), 가장 높은 국가는 영국(62.9명)으로 분석됐다.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체코, 에스토니아, 프랑스, 아이슬란드, 우리나라, 룩셈부르크, 폴란드, 포르투갈, 터키에서 남성 사망률이 여성 사망률보다 높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남성 2012년 16.6명 2016년 12.5명으로 줄었고, 여성의 경우 17.5명에서 11.9명으로 줄었다.  

해당 통계에 산출된 시기는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제2차 국가치매관리 종합계획이 시행됐던 시기로 관련정책 등이 감소에 일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해석이다.

정부는 지난 2008년부터 치매를 중요한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제1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을 발표하는 등 치매관리를 위한 본격적인 노력을 시작했다. 

이후 제3차 치매관리 종합계획 (2016~2020년)까지 진행 중 문재인 정부출범과 함께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을 통해 전국에 치매안심센터가 설치됐고, 현재 치매관리법이 시행 중이다.

감소가 이뤄진 시기 진행된 ‘2차 국가치매관리 종합계획’은 ▲치매예방-발견-치료-보호를 위한 체계적 기반 구축 ▲치매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 및 노년의 불안감 해소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사회적 관심 제고를 정책목표로 실행해 추진했다. 

치매국가책임제 등 적극적인 치매관리 정책의 지속 시행에 따라 국가 치매관리 능력은 지속적으로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OECD 치매 연령표준화 사망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