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 진입 코앞…노인복지관 기능 재정립 필요
초고령사회 진입 코앞…노인복지관 기능 재정립 필요
  • 조재민 기자
  • 승인 2019.12.20 16: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치구별 특성반영과 활성화 방안 새롭게 마련해야“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노인복지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기능의 정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현재 노인복지관 체계는 다양해진 노인 욕구를 원활히 반영하지 못해 지역 특성화와 기획 운영과 평가방식의 변화로 이를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근 서울연구원 윤민석-문진영 연구원은 ‘노인복지관, 초고령사회 새로운 역할 기대’를 통해 자치구별 특성을 반영한 노인복지관의 기능 재정립을 주장했다. 

지난 2008년 서울노인 중 15.9%가 노인복지관을 이용했지만, 2011년에는 11.5%로 2017년도 9.4%로 점차 이용률은 줄어들고 있다.

치매 예방과 지연에 사회생활 유지 등 대인관계가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임을 감안하면 노인의 커뮤니케이션 형성의 주요 창구 중 하나인 노인복지관의 변화와 활성화는 필수적이라는 이야기다. 

그럼에도 현재 지역 자치구별 특성이 다양함에도 노인복지관은 중앙정부의 지침과 평가 기준에 따라 비슷한 구조로 운영되고 있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키 어려운 구조다.

연구원은 먼저 향후 추가될 신규 노인복지관은 자치구별 다양한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지역특성화 기능은 기존의 기본-선택사업에 지역의 역사나 물리적 환경, 이용자 특성 등 지역특색을 반영한 사업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또 기존 지역에 부족했던 시설을 보강해 특정 시설을 강화하고, 기존 복지관과 순환 구조로 운영하는 방법의 구상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노인복지관은 구체적인 사업을 틀에 맞춰 제공하는 것이 아닌 지역 욕구를 기반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는 분석이다. 

새로운 기능 수행에 맞춰 기획과 운영, 평가방식의 변화도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서울시가 자치구별 특성화 사업에 유리한 조건임에도 지침과 평가기준 충족을 위해 복지관을 제한적으로 운영하는 한계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노인복지관의 자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지침을 개선하고 기관 설계와 계획단계부터 운영주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더불어 지역 특성화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가능하다면 서비스 유료화와 유동적인 시설 설치 규정 조정 방안도 강구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연구원은 “기존 지역사회 유관기관과 적절한 역할 분담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신규 노인복지관이 지역의 욕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시 복지본부는 지난 2018년 신년보고회를 통해 노인복지시설을 확충을 통해 노년층의 생산적 여가활동의 수요 증대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