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인식개선 과잉된 치매 정보 선별부터 시작해야"
"치매인식개선 과잉된 치매 정보 선별부터 시작해야"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0.02.05 17: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고려대 신경과 이찬녕 교수(치매학회 홍보이사)
고대안암병원 신경과 이찬녕 교수

치매에 대한 정책과 지원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인식개선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정책의 지원만큼 인식개선이 이뤄져야 효과가 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치매의 완치를 가능케 하는 근원적 치료제가 부재한 상황에서 지속적인 관리와 관심이 가능케 하는 인식개선 활동의 중요성은 부정할 수 없다. 

과거와 달리 치매 질병자체에 대한 오해와 편견은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치매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한 영역은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상태다. 

치매학회는 국립현대미술관과 함께 치매환자의 예술경험을 지원하는 일상예찬 사업 등을 수년째 환자와 가족들에게 지원하고 있다. 

디멘시아뉴스가 치매학회 홍보이사인 고려대 안암병원 신경과 이찬녕 교수를 만나 치매인식개선의 필요성과 방향 그리고 예술과 치매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Q) 치매인식 개선을 위한 사회적 활동이 활발하다. 인식개선 중요성은 무엇이라고 보는지?

치매인식개선의 개념은 과거와 조금 달리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과거 치매 자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근원적인 개선의 개념이 컸다면 최근은 정보 과잉 속에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과잉된 정보와 우려로 인해 과잉검사가 많아지게 된 셈이다. 치매인식개선에 양적인 팽창을 넘어 정확한 정보를 홍보하는 방안이 더욱 필요해지고 있는 셈이다. 

즉, 치매에 대한 기사나 의학정보들의 양질화로 명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왜곡된 정보를 통한 과잉 진료와 치매 진단 남발을 막는 정확한 진료에 의한 검사 확립이 필요하다. 

Q) 치매학회가 치매 환자의 다양한 예술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어떤 효과가 있는지?

치매환자가 직접 예술을 한다는 의미보다는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증진에 초점을 맞췄다고 볼 수 있다. 예술 작품을 향유함으로써 정서적인 안정과 가족과의 외출 기회 등을 늘리는 것이다. 

치매 초기에 환자들이 겪는 문제에서 가장 와닿는 불편이 바로 일상유지다. 치매를 진단받으면 먼저 외출 자체가 줄어든다. 하지만 치매환자들도 예술을 즐기고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고 환자와 보호자들이 문화생활에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가장 크다고 본다. 

치매 환자분들도 음악회를 즐길 수 있고 예술을 느끼고, 향유 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 대한 정서적인 환경을 제공받을 기회를 늘려는데 도움을 주는 셈이다.

Q) 꾸준한 치매 증가로 예방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추천하는 예방법이 있다면?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약물이나 음식 하나만 먹고 치매가 예방되거나 좋아지는 일은 단언컨대 없다는 것이다. 종합적인 삶의 라이프스타일을 개선하지 않으면 단순히 약 하나를 먹고 예방이 되는 일이 없다는 걸 강조하고 싶다. 

현재 치매예방을 광고하는 수많은 약이나 식품 중에 근거가 구체화된 사례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통용되는 일반적인 예방법으로는 위험 요인을 조절하는 게 중요하다. 나이는 조절할 수 없지만 조절이 가능한 영역에서 위험을 줄이는 방식이다. 

고혈압과 당뇨, 고지혈증 등을 잘 관리하고, 유산소 운동을 추천하며, 대인관계도 중요하다. 모든 사례를 종합해보면 결국 뇌를 많이 쓴다는 공통점에 귀결되는데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영역이다. 

Q) 치매국가책임제 등 치매정책 전반이 확대되고 있다. 필요한 정책과 방향은? 

지역마다 치매관련 인프라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를 위한 맞춤형 세분화 전략이 필요하다. 지역마다 상황이 달라 지역 맞춤형 특화관리 사업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치매 조기선별검사 등 10년 넘게 치매를 관리한 서울지역의 경우는 치매환자의 예방 활동과 사례관리에 특화를 진행하고, 안심센터가 늦게 자리를 잡은 곳은 선별검사 등 숨어 있는 환자 발굴에 집중하는 것이다. 

전국 단위를 하나의 정책이 아닌 개별맞춤 정책을 제공하고, 각각의 시기와 단계를 설정해 체계화 시켜 맞춤형 정책을 적용하는 게 필요하다. 치매국가책임제의 진화를 통해 개별 사례 정책을 진행하는 의미다.  

특히 공공복지와 의료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필요해 보인다. 현재 전반적인 치매환자의 발굴로 유병률이 굉장히 높아진 상태다. 이에 따른 국가 재정소모 등 기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진단과 치료는 의료 영역에서 맡을 수 있도록 하고, 공공영역에서는 예방과 관리에 집중해 명확한 구분과 발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싶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