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실종 방지 사회적 인프라 확대…CCTV 안면인식 등 다각화
치매실종 방지 사회적 인프라 확대…CCTV 안면인식 등 다각화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1.09.13 17: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령화와 치매인구 증가-범죄방지 등 다용도 활용 기대 

치매실종 등 고령층 위험 방지를 위한 사회 안전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이를 마련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로 각종 안전사고가 늘어남에 따라 실종자 사망위험 가능성이 높은 치매실종에 대한 지원이 이어지는 추세로, 실종 방지책 이외에도 기타 범죄예방 등에도 활용할 수 있는 만큼 안전성을 인정받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3일 서울시 등 다수 지자체에 따르면 치매실종 방지를 위한 사회 인프라 확대 제도를 추진 및 계획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청 추산 치매 실종 신고건수는 지난 2017년 이후 꾸준히 1만 건 이상의 신고가 접수되고 있으며, 2018년 1만 2131건, 2019년 1만 2479건, 2020년 1만 2272건으로 매년 1만 2천 건 이상을 웃돌고 있다.

먼저 서울시는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최신기술 확보에 나섰다. 최근 서울시는 지능형 CCTV 안면인식 기반 선별관제 기술을 적용한 치매노인 실종방지 시스템 구축 추진 계획을 예고했다. 서울시와 자치구의 CCTV 통합관제센터에 지능형 CCTV 객체추적 및 안면인식 기반 선별관제 기술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기대효과는 ▲치매노인 실종 예방과 실종사고 발생 시 안전 골든타임 확보 ▲CCTV 영상정보 인공지능 학습을 통한 객체인식 정확도 향상으로 타분야(미아찾기, 범죄 피의자 추적 등) 적용 확대이다. 

서울시의 이번 사업을 통해 치매실종 방지 이외에도 각종 위험에 대한 고령층의 노출 감소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실제 지난 2020년 서울시 치매환자 실종 건수는 지난해 1만 2,272건을 넘어섰고, 2018년 이후 교통사고 노인사망사고 비율은 50%, 노인대상 범죄건수는 10만 건에 달하는 등 고령층의 위험도는 날로 높아지고 있어서다. 

하지만 과거 소극적 대응책과 달리 치매실종 예방과 수색을 위한 지원책들은 효용성을 인정받으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단연 치매실종 문자 제도가 눈에 띄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지난 8월 31일 울산에서는 실종된 90대 치매 할머니를 문자 경보 30분 만에 제보로 찾아 가족에게 인계했으며, 9월 9일 같은 지역의 70대 치매 노인이 16시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경남 창녕에서도 90대 치매노인이 문자 발송 12시간, 제주 서귀포시에서는 1시간 만에 찾는 등 전국 각지에서 치매실종 문자 발송의 힘을 체험하는 중이다. 

이외에도 각 지자체는 치매실종 방지를 위한 예방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각 지역 치매 안심센터들은 GPS 추적기 보급에 집중하고 있으며, 치매안심 도시를 위한 대책을 저마다 내놓는 상황이다.

고령화 대책 마련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는 지자체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치매실종 방지 등을 위한 안전강화 대책들도 지속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