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국가책임제 코앞인데…“치매관리 인프라 여전히 부족”
치매국가책임제 코앞인데…“치매관리 인프라 여전히 부족”
  • 조재민 기자
  • 승인 2017.09.13 14: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관리 시설 지역 편차와 전문가 부족 등 지적

치매국가책임제가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치매관리와 관련된 인프라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울시 주관으로 13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치매관리사업, 다음 10년을 위한 과제’를 통해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정순돌 교수는 치매인프라 부족을 지적했다.

치매관리 인프라 구비는 치매국가책임제 정책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문제다.

정순돌 교수가 지적한 치매인프라 문제는 ▲지역별 심한 기관편차 ▲치매전문가 및 인력 부족 ▲성별 특성에 맞는 인프라부재 등이다.

먼저 지역별 편차는 서울-경기지역에 과도하게 밀집된 치매인프라 문제다. 현재 65세 이상 치매 추정 인구 64만 8,223명에 비해 치매관련 기관의 수가 적고 주로 서울, 경기 지역에 집중되는 등 지역별 편차가 크다는 것이다.

의료기관 및 장기요양기관에 비해 치매센터 및 공립요양병원 부족도 지적했다. 시설 유무에 따라 지역별 프로그램의 편차가 크게 존재한다는 게 정 교수 의견이다.

또 치매 전문가 및 인력의 부족문제도 지적했다. 치매관련 인력부족과 지역별 편차로 인력 1명당 담당하는 치매환자의 수가 많아 효과적인 지역 내 치매관리가 어렵다는 설명이다.

2017년 3월 기준 전국 정신건강의학과 및 신경과 전문의는 4,918명으로 65세 이상 치매환자 1,000명당 전국평균은 7.6명에 불과하다.

특히 성별 특성에 맞는 인프라 부재 역시 심각한 문제다.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 및 치매 노인 중 여성노인의 비중이 크지만 이를 고려한 기관이나 정책은 전무하다.

정순돌 교수는 “치매국가책임제의 성공을 위해서는 치매 중증도에 맞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지역균형을 고려한 방향을 설정해 확충해야 한다”며 “특히 치매 전문가 및 인력확보, 민관 공조체계의 확립 등이 균형 있게 이뤄져야한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는 현재 인력과 시설 등 인프라의 확보는 장기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복지부 치매정책과 조충현 과장은 “복지부도 치매관리 관련 인프라 부족에 대해서 문제인식을 하고 있다. 인력적인 부분의 고민이 가장 크다”며 “단기적으로 충원이 어렵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디멘시아뉴스 조재민 기자(jjm5352@dementianew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