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대응 비용 급상승…치매 대응력 강화 "선택 아닌 필수"
치매대응 비용 급상승…치매 대응력 강화 "선택 아닌 필수"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1.12.16 17: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안심센터 중심 가용 보건의료자원 확대 강조

고령화로 치매 관련 보건경제적 비용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이를 대처할 보건의료자원의 대응력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존 치매조기발견과 치료 중심에서 치매예방과 치매위험요인 제거, 치매인식개선사업 강화로 치매관리사업 방향을 개선해야 한다는 게 변화의 골자다. 

최근 서울연구원 윤혜정, 손창우 연구원은 서울도시연구 ‘서울시 치매로 인한 보건경제적 부담 연구’ 보고서를 통해 치매비용 현황과 개선점을 제시했다.  

해당 연구는 초고령사회 진입, 치매국가책임제 도입 등 서울시의 치매환경 변화 속에서 치매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보건경제적 부담 추정을 위해 수행됐다. 

분석 결과 서울시 치매환자의 의료이용이 매년 증가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한 서울시 전체 보건경제적 부담도 연평균 9.1%씩 증가했다. 지난 2019년 기준 서울시의 치매로 인한 보건경제적 부담은 총 4,036억원, 치매환자 1인당 약 537만원이었다. 

전체 비용 중 직접비의 비중이 55.6%로 간접비보다 컸고, 연평균 증가율은 10.9%로 직접비의 증가 속도가 더 높았다. 연령별로는 64세 이하 초로기 치매환자의 보건경제적 부담이 가장 크고, 빠르게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치매대응의 직접비는 치매 치료를 위해 실제 비용이 지불된 재화 또는 서비스며, 간접비는 직접비와 달리 실제 비용 지출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치매로 인해 간접적으로 발생한 손실 비용을 지칭한다. 

직접비는 의료비와 교통비로 구분했고, 간접비는 인적자본 접근법에 따라 질병이환 및 조기사망에 의한 생산성 손실과 돌봄제공자의 돌봄으로 인한 기회비용으로 구분했다. 

또 이를 토대로 보면 서울시 치매 환자 1인당 질병비용은 2019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인당 평균 의료비(약 419만)에 비해 14% 가량 높았다. 서울시의 치매로 인한 총 질병부담은 2019년 서울복지예산 3.6%, 노인 관련 복지예산의 15.9%를 차지했다. 

치매 유병률의 꾸준한 상승으로 관련 수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현재 약제비 분야에서도 감지 중이다. 

1인당 진료비 중 약제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분석기간 중 2018년까지는 일정하게 유지됐지만, 2019년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75세 이상 여자 치매환자의 약제비가 증가한 탓이다. 반면, 75세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연령층에서는 감소세가 주목됐다.

비약물 치료에 대한 비용은 증가 추세였다. 영국과 캐나다, 일본을 중심으로 치매관리의 비약물 접근방식인 사회적 처방이 확산되고 있어, 우리나라도 비약물적 접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는 사례라는 해석이다. 

윤혜정-손창우 연구원은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서울시 차원의 이용 가능한 다양한 보건의료자원의 대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