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치매 용어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 연구 추진
복지부, 치매 용어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 연구 추진
  • 최봉영 기자
  • 승인 2022.03.03 17: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용어 변경 비용 효과성 등 분석
복지부
복지부

어리석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치매(癡呆)라는 용어의 변경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그동안 치매 용어 변경에 대한 시도는 있었으나, 사회적 합의가 미진해 실제로 이뤄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이 치매 용어 변경의 필요성을 언급함에 따라 복지부도 용어 변경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복지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치매 용어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 및 시사점 연구'를 의뢰했다. 연구는 올해 3분기 경에 종료될 예정이며, 연구비는 3,000만원이 투입됐다.

이번 연구는 치매라는 병명이 가진 부정적 의미가 편견을 유발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됨에 따라 마련됐다.

해당 연구를 통해 치매 용어의 국내외 사례와 용어 변경 비용효과성 등을 분석하고, 시시점을 도출할 계획이다.

그동안 정치권이나 복지부에서 치매 용어 변경에 대해 수차례 검토가 이뤄진 바 있다. 하지만 용어를 변경할 경우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의견에 따라 현행 유지하는 쪽에 무게가 실렸다.

실제 치매 용어 변경과 관련해 꾸준히 문제 제기가 이뤄지고 있으며, 대국민 조사에서는 찬반 의견이 비교적 팽팽하다. 부정적인 단어임에는 틀림없지만 단어를 바꾸기는 부담이라는 의미다.

지난해 치매 용어와 관련한 대국민 인식 조사에서 국민 43%는 치매라는 단어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치매 용어를 변경해야 한다는 응답은 약 20%에 불과했다.

또 치매 가족, 요양보호사 등 치매환자와 직접 관계가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도 용어 변경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25%에 그쳤다.

의료진들도 사회적 합의가 되지 않았다는 것을 이유로 용어 변경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 바 있다.

다만 2014년 진행된 국민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치매용어에 대한 거부감이 40%에서 2021년 43%로 늘어 거부감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형국이다.

여기에 문대통령이 지난해 치매 용어 변경을 필요성을 직접적으로 언급함에 따라 복지부도 용어 변경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에는 그동안 미뤄왔던 치매라는 용어의 변경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한편, 치매 용어와 관련한 대국민 조사에서 치매를 대체할 수 있는 용어로는 인지저하증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기억장애증, 인지장애증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