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장질환,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 "치매 위험 줄였다"
만성신장질환,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 "치매 위험 줄였다"
  • 원종혁 기자
  • 승인 2022.11.21 1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美존스홉킨스의대 발표, SHPT 치료 "노인 환자 치매 발생 감소 연관성"
출처: 국제학술지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만성신장질환(CKD)을 가진 고령 환자에서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추후 치매 발생 위험을 줄인다는 최신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비타민 D 유사체 및 인 결합제, 부갑상선 절제술 등의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경우 치매 발생 위험이 42% 감소한 것이다.

더불어 여성과 아시아 인종에서는 이러한 혜택이 더 높게 나타나며, 추가 결과 해석을 놓고는 귀추가 주목된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외과 Aarti Mathur 교수팀이 진행한 이 같은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2022년 11월호에 게재됐다.

통상 학계에서는 높은 혈중 부갑상선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 수치를 인지장애의 잠재적인 위험인자로 내다보는 상황이다.

더욱이 이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SHPT)에 영향을 받는 말기신장질환(end-stage renal disease, ESRD)을 가진 노인 인구의 경우, 일반 인구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도 조사된다. 

연구팀은 여기에 주목했다. 66세 이상의 고령 ESRD 환자를 대상으로 SHPT 치료를 시행할 때 치매 발생 위험에 어떠한 차이가 생기는지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이번 연구를 살펴보면, 미국 메디케어 및 신장데이터시스템(United States Renal Data System)에 등록 청구된 환자들의 의무기록자료를 분석했다. 2006년부터 2016년 사이에 투석을 시작한 총 18만 9,433명의 노인을 조사했으며 이들 모두는 치매를 진단받지 않은 경우였다.

SHPT 치료는 비타민 D 유사체 및 인 결합제, 칼슘 유사 작용제의 사용 또는 부갑상선 절제술의 시행으로 정의됐다. 더불어 해당 치료와 치매 발생 사이의 연관성은 다변량 콕스비례위험모델(multivariabl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을 통해 정량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는 어땠을까. 분석 결과 18만 9,433명의 고령 ESRD 환자 중 92%의 청구 진단코드가 SHPT였으며, 12만 3,388명(65%)이 SHPT로 치료를 받았다.

관전 포인트는 SHPT 치료에 따른 치매 발생 위험의 차이였다.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군에서의 치매 발생률은 100인년(person-years)당 11건이었던 것에 반해 SHPT 치료군의 경우 100인년당 6건으로 나타났다. 

결국 SHPT 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해 치매 발생 위험이 42%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는 대목(adjusted hazard ratio (aHR) = 0.58, 95% confidence interval (CI): 0.56–0.59).

아울러 이러한 결과는 인종 및 성별에 따라 SHPT 치료의 혜택이 증대됐다. SHPT 치료를 시행한 여성에서의 치매 위험은 44% 감소했으며 아시아인 49%, 흑인 49% 등으로 치매 위험 감소가 높게 보고됐다.

연구팀은 "이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를 받는 것은 고령 ESRD 환자에서 치매 발병 위험이 낮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며 "추후 해당 고령 환자에서는 SHPT 치료에 대한 추가적인 혜택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논문> Aarti Mathur, JiYoon B Ahn, Whitney Sutton, Nadia M Chu, Alden L Gross, Dorry L Segev, Mara McAdams-DeMarco,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CKD-MBD) treatment and the risk of dementia,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Volume 37, Issue 11, November 2022, Pages 2111–2118, https://doi.org/10.1093/ndt/gfac167.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