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초기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2세대 표적 치료제들이 개발되면서 경도인지장애 단계부터 환자를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이 같은 제언은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정책개선 토론회에서 발표됐다.
고대안암병원 신경과 이찬녕 교수는 "최근 고령 인구 증가에 따라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치매 환자 수는 지난해를 기준으로 67만 명이며 유병률은 7% 정도로 집계되고 있다"며 "반면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254만 명으로 유병률도 30%에 달한다. 이는 웬만한 광역시 인구보다 많은 숫자로 앞으로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도인지장애는 가족이나 주변 지인에게는 환자의 인지 장애가 드러나기도 하지만 일상생활에는 문제가 없어 치매라고 정의할 수 없는 단계를 말한다. 경도인지장애는 주로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전단계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와 다른 질환으로 인한 비기억성 경도인지장애로 구분된다.
문제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다. 기억성 경도인지장애를 앓는 환자의 경우 치매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선제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 교수는 "매년 정상인의 1~2% 정도가 치매로 진행하는 것에 비해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경우 매년 10~15%가 알츠하이머형 치매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에게 더 많은 주의와 관심이 필요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세대 표적 치료제가 개발된 환경에 맞춰 치료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2세대 항체치료제들이 개발되면서 지금까지 약물치료 대상이 되지 않았던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치료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이런 신약들은 향후 수년 내 치매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경도인지장애가 치매 중증화를 막을 수 있는 치료 적기인 만큼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약물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이라며 "이에 따른 전문화된 진료가 필요하다. 현재까지의 건강보험적용과 의료전달체계로는 패러다임 전환을 감당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양대구리병원 신경과 최호진 교수 역시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관리하기 위해 패러다임 전환은 필수적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최 교수는 "지금까지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와도 의료적 영역에서 이들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며 "지금까지는 초기 상태 치매 환자를 발견해 이들이 말기로 진행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개념이었다. 하지만 지금 개발되고 있는 다양한 약제들이 대부분 기억성 경도인지장애를 표적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제는 조금 더 앞선 단계에서 증상을 발견해 환자가 치매로 넘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무기들이 생긴다는 의미"라며 "의사들의 전문적인 진단을 도울 다양한 지원제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