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정복 첫 단추는 뇌 기증 인식 개선과 정부의 장기적인 지원”
“치매정복 첫 단추는 뇌 기증 인식 개선과 정부의 장기적인 지원”
  • 조재민 기자
  • 승인 2018.06.01 17: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병원 뇌은행장 박성혜 교수 (병리과)

[인터뷰] 서울대병원 뇌은행장 병리과 박성혜 교수

치매국가책임제가 본격 시작되면서 국내 치매관련 인프라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가 이뤄졌다. 여러 문제가 제기됐지만 전문가들은 연구 인프라 부족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치매정복을 위해서는 인체자원을 통한 근원적인 연구가 이뤄져야 함에도 뇌 조직 확보가 미흡했던 탓에 치매 연구가 원활이 이뤄질 수 없었다는 지적이다.

복지부는 치매 뇌 은행을 통해 생전 임상정보를 담은 인체 자원인 뇌 조직 확보에 집중하기 위해 치매 뇌 은행 구축을 국가적으로 지원키로 결정했다.

해외 뇌 은행에 비해 현재 턱없이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국내 뇌 연구 분야의 발전을 위한 첫 단추인 것을 생각하면 괄목할 성과인 셈이다.

이에 최근 치매 뇌조직 은행 사업대상자로 선정된 서울대병원 뇌은행의 은행장 박성혜 병리과 교수를 만나 국내 뇌은행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들어봤다.

Q. 현재 한국 뇌은행의 상황은 어떤가?

가장 큰 문제는 뇌 기증 문화가 활성화 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유교 문화권인 탓에 부모님의 신체를 일부 훼손하는 것을 기피하는 문화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국가에 도움을 받아 병원 차원에서도 기증자에게 장례비 지원이나 아밀로이드PET-CT나 화장비 지원 등 여러 도움을 주고 있지만 기증이 부족한 것은 사실입니다. 많은 분들이 의학 발전을 위한 마음으로 기증 문화가 정착 되도록 앞장서 주셨으면 합니다.

저희 의료인들도 기증문화에 긍정적인 부분이 확산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해야 합니다.

Q. 뇌 기증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무엇이 있는지?

일단 치매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원인을 알아야 진단과 치매 규명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 기존의 여타 치료도 표적치료를 위해서 어떤 표적자가 있는지 조직에서 알려줘야 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현재 국내 치매 연구는 원인 규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기본기가 많이 부족하고 이 때문에 치매에 대한 제대로 된 연구 통계조차 없는 실정입니다.

일각에서는 영상 발달로 뇌 연구가 필요하냐는 말을 할 수 있겠지만 영상은 그림자일 뿐 100%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정확한 조직 진단이 이뤄져야 치매 정복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박성혜 교수가 보관중인 뇌조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Q. 뇌 기증으로 가족이 얻을 수 있는 장점도 있는지?

먼저 진단을 위해 뇌 전체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진단에 활용한 조직 이외에도 여러 연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 뇌 적출에 미세한 자국만 남기 때문에 일반 장례절차 진행에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특히 가족분이 치매로 사망하셨을 경우 뇌 기증을 통해 정확한 진단이 이뤄지면 원인을 규명해 가족력에 대해서도 대비할 수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 유전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이유 모두로 치매가 발병할 수 있기 때문에 부검 시 많은 부분을 알게 됩니다. 즉 가족력을 분석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Q.뇌 은행의 발전을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필요한 것은?

뇌 은행 사업은 인간의 뇌조직을 이용한 연구의 기본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국가 주도의 지속적이고 과감한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 이유입니다.

뇌 은행은 자체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없어 자칫 병원 등에서 애물단지로 전락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연구의 기초 인프라인 점을 감안하면 꼭 해야만 하는 일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투자가 원활하게 이뤄져야 합니다.

현재 사업은 질병관리본부 산하 국립보건연구원 뇌질환과에서 지원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처음 이뤄지는 사업이지만 향후 지속적으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좋은 선례를 남겼으면 합니다.

해외 뇌은행과 활발한 교류를 통해 뒤늦은 뇌조직 확보에 주력할 생각입니다.

디멘시아뉴스 조재민 기자(jjm5352@dementianew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