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치매안심센터 운영 방향 어디에 집중될까?
내년도 치매안심센터 운영 방향 어디에 집중될까?
  • 조재민 기자
  • 승인 2018.11.16 17: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예방 프로그램 강화…의료기관과 관계 개선도 계획

256개 개소를 목표했던 치매안심센터가 지연 등 일부 과정상에 문제는 많았지만 꾸준히 개소센터를 늘려가고 있다. 그렇다면 센터 개소 완료 후 복지부는 안심센터를 어떻게 발전시킬까?

최근 보건복지부 치매정책과 조충현 과장은 치매 관련 토론회 등을 통해 향후 치매안심센터 운영방향에 대해 예방 및 사례관리 등에 집중할 것을 시사했다.  

복지부는 내년 하반기에는 치매안심센터 정식개소가 마무리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구체적인 내년도 운영 계획을 밝히며 의료계 등에 다각도의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조충현 과장은 “치매환자와 가족 등이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게 센터의 기본 지향점이다. 앞으로는 치매 예방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집중적으로 진행할 것”이라며 “조기발견이나 고위험군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개입을 하면 관리 효과가 있다는 게 이미 증명됐다”고 말했다.

치매를 사전에 발견하는데 중점을 두고 예방 서비스로 운동이나 식이요법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안심센터에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지역 인프라 부족 등으로 교통 여건이 좋지 않은 농어촌 지역에 방문형 모델을 강화 및 개발하는 등 찾아가는 서비스도 점차 늘려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독거노인이나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치매관리 사례를 늘려가겠다는 의도다. 

협력의사 부족문제도 희망적으로 내다봤다. 치매현재 개소 치매안심센터 중 10월 기준으로 협력의사가 없는 곳은 32곳이다. 

대학병원 등의 협조 등으로 협력의사 문제도 점차적으로 해소될 것이라는 게 복지부의 분석이며 연말까지 성과가 상당 부분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의료기관과 협업도 점차 늘러나갈 계획이라고도 밝혔다. 현재 의료계에서는 치매안심센터가 의료기관과 협력관계가 아닌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조충현 과장은 “치매정책은 시설이나 병원에서 케어하는 것보다 사시는 곳에서 생활하도록 하고 사례관리를 중점으로 지향하고 있다”며 “치매는 대부분 병원에서 진료를 받기 때문에 의료기관과 치매안심센터가 협업할 수 있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치매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진행하고 의료기관과의 다양한 협력사례를 만들어야 지역치매 관리 인프라 구성이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