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치매치료제 시장 5% 점유한다는 정부, 현실성 있나?
글로벌 치매치료제 시장 5% 점유한다는 정부, 현실성 있나?
  • 최봉영 기자
  • 승인 2018.11.16 17: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계 현실 고려하지 않은 목표 제시...실질적 혜택 필요

최근 정부가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국가치매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큰 그림을 공개했다.

해당 사업에 대한 목표는 명확하다. 치매 관련 연구개발 투자로 2030년까지 치매발병을 평균 5년간 늦추고 환자증가 속도를 50%까지 줄이겠다는 것이다.

정부가 정한 목표를 달성하게 되면, 2040년경에는 치매환자 약 35만명,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65만명이 각각 감소될 것이고, 이에 따른 치매관리비용은 10조원가량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개발된 혁신적인 치매치료제는 글로벌 치매시장 점유율을 5%까지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가 짜 놓은 계획대로만 된다면 그야말로 장밋빛 미래다. 하지만 이 같은 정부안이 현실성이 있을 지는 미지수다. 투자 대비 과도한 목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국가치매연구개발사업에 투자하는 비용은 약 10년동안 5,800억원 가량이다. 분야별 투자 예산을 보면 원인규명 분야 1265억원, 예측 진단기술 1,286억원, 예방치료기술 1,719억원, 인프라구축 1,258억원 등으로 책정돼 있다.

각 분야별 예산을 연간으로 나눠보면 적게는 130억원에서 많게는 190억원 수준이다. 여기에는 민간 예산도 투입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정부 투자 예산은 더 줄어든다.

특히 혁신치매치료제 개발과 관련한 예산 투입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 제약업계 전반의 견해다. 글로벌 제약사들은 치매약 개발을 위해 이미 수십조원을 투입하고도 아직까지 개발에 이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이번에 책정돼 있는 예산 중 상업 임상 단계에 투입되는 비용은 연간 수십억원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해당 분야 예산의 상당 부분은 기초 연구나 상업 임상 이전 단계에 투입될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에서도 일부 제약사를 중심으로 치매약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적게는 수년 길게는 10년 가량동안 천문학적인 비용을 투입하고도 치료제 개발은 상업화 문턱에서 좌절된 바 있다.

정부가 내놓은 글로벌 치매약 시장 5% 점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신약 개발이 필수다. 신약 개발에 있어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투자도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신약 개발 성공률은 일반적으로 1% 정도로 알려져 있다. 100개의 약이 개발과정에서 99개가 탈락한다는 뜻이다. 치매치료제 성공률은 1%도 못 미치며, 10년이 넘게 새로운 약 개발이 안 되고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치매약 시장 5%를 점유하기 위해서는 최소 매출이 수 조원이 되는 제품이 있어야 한다. 정부는 연간 수 조원의 매출을 올릴 제품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제품 개발에는 연간 100억원도 투자하지 않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가 치매치료제 개발에 거듭해 실패하고 있음에도 수 조원을 투자하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치매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기초과학도 중요하지만, 현재 그 선봉에는 제약사가 서 있다. 제약사에 실질적인 혜택을 줘야 투자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다.

치매치료제 개발에는 천문학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정부 주도로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에 점차 힘이 실리고 있다. 이는 치매를 국가가 책임지겠다는 현 정부의 슬로건과도 일치한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연초만 하더라도 정부가 치매 분야 개발에 1조원 이상을 투입하다는 얘기에 살짝 기대도 했으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기대가 사라졌다"며 "치매약 개발하는 제약사에 직접적인 지원은 못하더라도 임상 분야 세제 혜택 등 실질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