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친화마을은 세계적 추세…기능 구체화 방안 고민 
치매친화마을은 세계적 추세…기능 구체화 방안 고민 
  • 조재민 기자
  • 승인 2019.05.16 16: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간접적 환경조성 차원 넘어 자원 및 네트워크 구성해야”

현재 우리나라의 치매안심마을은 치매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간접적 환경으로 활용되는 측면이 커 기능 구체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보고서가 발표돼 눈길을 끈다.

최근 세계적으로 연령 친화적(Age-Friendly)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계획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치매친화마을의 평가도구 개발 등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세계적으로 치매친화마을이라는 표현이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정책상에서 치매안심마을이라는 인식개선에 중점을 둔 다소 좁은 개념으로 볼 수 있다.

16일 보건사회연구원 정영호 선임연구위원은 ‘국민건강정책의 건강영향평가’를 통해 치매친화마을의 건강영향평가에 대해 발표했다.

치매국가책임제의 경우 치매안심센터 등 지원기관을 중심으로 관리지원 시스템 구축이 집중돼 있어 치매안심마을의 실효성을 높일 방법을 고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치매친화마을 지역별 고유한 프레임을 설정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자원 및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즉, 안심마을은 치매 환자뿐 아니라 가족들의 참여와 이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기획하고, 비용-효과성에 근거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로 설계돼야 한다는 것이다.

치매친화마을의 평가항목에 대한 해외사례도 살폈다. 다양한 평가 사례를 통해서 치매안심마을의 기능을 구체화시킬 수 있다는 이유다. 

제안된 평가요소를 보면 ▲지자체장 또는 주요 정치인의 지원 ▲치매친화마을 설계 및 관리하는 리더십과 거버넌스 ▲치매친화마을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인적지원 및 역량강화 ▲치매 환자 및 가족과 기타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참여 여부 ▲치매 환자 및 가족들의 요구를 평가해 우선순위 결정 ▲치매친화성 평가 항목 적용 등이다.

이후 모니터링, 평가 및 자원 할당 계획을 포함해 지속 평가를 진행하고 결과를 정책으로 연계함으로써 국가 건강정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내다봤다.

더불어 중증 치매환자를 위해서는 마을형 요양시설 건립과 시범운영 추진 확대를 고려해야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치매안심마을은 범위에 따라 중증 치매환자에게는 별다른 효과가 없을 수 있어 환자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적 상황에 맞게 보완될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정영호 위원은 ”치매안심마을 사업이 원활하게 지속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최우선 과제“라며” 더불어 지역의 건강증진 인프라, 역량, 재원 확보, 홍보와 교육 등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치매안심마을의 개념이 치매인식개선 등에 단순 기능에 그치고 있어, 논의가 구체화 시 재정 확보 등 다양한 영역에서 난항이 예상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