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학회, 치매 빅데이터 연구 네트워크 구축 추진
치매학회, 치매 빅데이터 연구 네트워크 구축 추진
  • 최봉영 기자
  • 승인 2019.06.07 16: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빅데이터 분석 통한 정책 효과 판정 및 제안
7일 국회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가 개최됐다.
7일 국회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가 개최됐다.

치매학회가 정부와 빅데이터 임상활용연구회와 치매 빅데이터 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정부 정책 효과를 판정하고, 나아가 정책 제안을 하는 것이 목표다.

7일 국회에서 열린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치매학회 최호진 총무이사는 이 같이 밝혔다.

치매환자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관리 비용도 증가함에 따라 정부는 치매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치매국가책임제 선포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치매 정책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료 분석이 필수적이다. 한국은 현재 단일보험 국가로서 관련 자료는 심평원이나 공단이 보유해 연구자들이 활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연구자들이 공단 자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연구계획서 작성부터 IRB 심의 등을 거쳐야 하며, 연구 준비과정에만 약 5~6개월의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다른 질환과 달리 치매는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 다양하고, 진단도 복잡하기 때문에 빅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기가 특히 어려운 분야다.

이에 치매학회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공단, 전문인력이 있는 '빅데이터 임상활용 연구회'와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

이미 빅데이터 임상활용 연구회와 업무 협약을 맺은 상황이며, 학회는 연구회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제공받게 된다.

치매학회는 추후 공단과 업무협약을 통해 네트워크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공단과 업무 협약을 맺을 경우 5~6개월의 준비 과정 없이 공단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치매학회는 연구 네트워크를 통해 ▲치매 빅데이터 연구 확산 ▲데이터 핸들링을 통한 연구 신뢰성 확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책 효과 판정 ▲치매 환자의 관리 방향 파악 ▲환자 중심의 정책 방향 설정 등을 기대하고 있다.

최 이사는 "치매학회는 정부 자료보안에 협조하는 선에서 데이터를 제공받아 대규모 역학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빅데이터 활용의 좋은 제시할 수 있는 아젠다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