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치료제 개발 과제, 지원 기간과 비용 늘려달라"
"치매치료제 개발 과제, 지원 기간과 비용 늘려달라"
  • 최봉영 기자
  • 승인 2020.09.15 17: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사전공시에 다양한 의견 제시

2028년까지 진행되는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의 첫 신규과제가 최근 공개돼 관련 업계의 의견을 청취했다.

총 9개 세부과제에 대한 내용이 공개됐으며, 이 중 치매치료제 개발 과제에 대한 의견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치료제 개발 과제는 비임상 후보물질 도출, 비임상, 임상 1상, 임상 2상 등 4가지로 구성돼 있다.

각 과제의 기간은 3년으로 구성돼 있다. 올해 사업의 경우 6개월로 편성돼 있어 사실상 지원되는 기간은 2년 6개월인 셈이다.

각 단계별 지원 규모는 비임상 후보물질 도출 7억5,000만원, 비임상 10억원, 임상 1상 15억원, 임상 2상 30억원 등이다.

비임상 후보물질 도출의 목표는 상위 20% 이내의 SCI(E) 우수 논문 2편 또는 상위 5% 이내의 SCI(E) 우수 논문 1편 및 특허 출원 1건 이상이다. 또 후보물질의 개념검증(PoC: Proof of Concept)을 입증해야 한다.

비임상과 임상 1상, 임상 2상은 다음 단계의 임상시험승인이 목표다.

치매치료제 개발 과제의 경우 비임상 단계부터는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업체 참여가 필수다.

치매치료제 개발 과제가 공개되자 연구자들이나 기업들은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우선 가장 눈에 띄는 의견은 과제에 대한 기간이 짧고, 비용이 너무 낮게 책정돼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치매치료제 개발에 뛰어든 업체의 경우 임상 진행에 있어 5년 이상이 걸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투자 비용에 있어서도 실제 사용되는 연구비에 비해서는 너무 적다는 의견을 내놨다.

치매치료제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면 연구기간을 더 길게 가져가면서 비용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인 셈이다.

또 개발 과제 역시 신약 개발에만 집중돼 있어 기존 약물을 활용하는 약물재창출이나 복합제, 개량신약 등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치매치료제 개발에 있어서도 약물적 치료제만으로 한정돼 있어 디지털치료제 등으로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기존 과제와 중복될 경우 지원에서 제외되는 사례가 있으나, 아직까지 약이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중복 지원의 길도 열어놔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의 목표 중 하나는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치매신약의 개발이다. 해당 사업에서 치매치료제 개발 과제에는 9년간 총 510억원이 투자될 예정이며, 지원 과제 수는 28개로 설정돼 있다.

1년 평균으로 환산하면 투자 규모는 45억원 수준이며, 과제당 지원 규모는 18억원 수준이다.

글로벌 제약사의 경우 치매치료제 개발에 매년 수조원을 투자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상용화된 치매약은 없다. 그만큼 비용이 많이 들고, 개발이 어려운 분야라는 것을 뜻한다.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치매치료제 개발 과제의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의 제시한 의견대로 투자를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다만 각 과제별 예산이 이미 책정돼 있다는 점에서 치매치료제 개발 과제에 대한 투자 규모를 확대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