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태성 떨림 유발하는 위험 유전자 발견…"유전율 18%"
본태성 떨림 유발하는 위험 유전자 발견…"유전율 18%"
  • 원종혁 기자
  • 승인 2022.01.27 1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WAS 연구 통한 유전율 분석, 5개 유전자좌 위험인자 발견

대표적 운동장애 가운데 하나로 '본태성 떨림(essential tremor)'의 유전적 위험인자를 포착해낸 최신 분석 결과지가 공개됐다.

전체 유전체의 특정 부위 5곳에서 질환과 밀접한 연관성이 발견된 데 이어, 본태성 떨림은 파킨슨병 및 우울증과도 유전자 변이가 중첩되는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최근 의료계에 따르면, 전장유전체관련분석(Genome-wide association study, 이하 GWAS)을 통해 본태성 떨림의 유전적 요인을 파악한 최신 연구 논문이 국제학술지 'JAMA Neurology' 2022년 1월 4일자에 게재됐다.

연구의 핵심은 이렇게 정리된다. 총 48만3,054명의 인원을 대상으로 전장유전체연구 및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유전체 중 5개의 유전자좌(loci·유전자가 위치하는 자리)에서 본태성 떨림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고한 것이다.

실제 본태성 떨림과 관련한 소뇌 영역에서는 BACE2 및 LRRN2, DHRS13, LINC00323 등 특정 유전자의 작용이 확인되기도 했다. 더욱이 이러한 변이체를 가진 경우 약 18%가 본태성 떨림의 유전율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파킨슨병 및 우울증과 변이 중복현상 포착…운동 조절 담당 소뇌 "유전자 농축 상당해"

우성 유전(autodominant) 특징을 보이는 본태성 떨림의 경우, 몸의 다양한 부분에서 작용근과 대항근이 수축하는 데 따라 일정한 빈도를 가지는 진동성 불수의 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통상 65세 이상 인원에서는 5% 수준의 유병률을 보이는 가장 흔한 운동장애 중 하나로 분류되는 상황인 것. 

학계에서는 이러한 본태성 떨림에 특정 유전자 변이가 관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사정만큼은 다르다. 아직 명확한 임상근거가 밝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

따라서 연구팀은 본태성 떨림에 영향을 주는 유전적 인자들을 파악하는 데 해당 연구의 목표를 잡았다. 이에 비교 방법으로 사용된 것이 전장 유전체 관련 분석법인 GWAS 연구였다.

해당 분석법은 질병이 없는 인원들과 질병을 가진 사람에서의 전체 유전체를 비교해 DNA 표지자를 저울질하는 방식을 가진다. 즉, 유전적 다양성이 유전체가 가진 표현형과 관련 있는지를 직접 구별하고 검사해 질병의 상관관계를 파악해볼 수 있다.

연구를 살펴보면, 환자 증례 대조군 연구를 활용해 전장 유전체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에는 2010년 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시행된 유럽지역 코호트 샘플이 이용됐다. 임상참가자들은 본태성 떨림을 진단받았거나 관련 임상적 소견이 나타난 경우였다. 

본태성 떨림을 진단받은 환자 7,177명 가운데 여성은 3,693명(51.46%)이었으며, 연령(중간값)은 62.66세였다. 대조군으로는 25만3,785명이 설정됐다. 여기서 주요 평가지표는 본태성 떨림에 관여하는 유전적 위험인자를 측정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는 어땠을까. 전장유전체 분석 결과 5개의 주요 유전자좌(genome-wide significant loci)가 확인됐으며, 이들에서 본태성 떨림의 유전율은 18% 정도의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됐다. 

또한 기능 분석 결과에서도 소뇌 반구를 비롯한 축삭생성(axonogenesis) 경로에 상당한 유전자 농축 소견이 포착되기도 했다. 소뇌는 중추신경계의 일부분으로 대뇌의 기능을 보조하며 자발적 운동의 조절과 평형 유지를 담당한다는 데 주목된다.

이 밖에도 유전자적 중복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본태성 떨림은 파킨슨병 및 우울증과도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수준의 변이 중복현상이 관찰됐다.

책임저자인 캐나다 맥길대학 유전학과 Calwing Liao 교수는 논문을 통해 "분석 결과 본태성 떨림의 유전율은 일반적인 유전자 변이로도 설명될 수 있으며, 유전자적 위험요소를 식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논문> Liao C, Castonguay C, Heilbron K, et al. Association of Essential Tremor With Novel Risk Loci: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and Meta-analysis. JAMA Neurol. Published online January 04, 2022. doi:10.1001/jamaneurol.2021.478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