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인구 질병 관리방안? "민간보험과 정책적 대응 연계 필요"
고령인구 질병 관리방안? "민간보험과 정책적 대응 연계 필요"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2.09.01 18: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연금·질병보험 등 수요 증가 예상, 노후 건강 공백 최소화 목적
출처. 보험연구원

인구 고령화로 질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대응력 강화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의료비 지출이 높은 고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고령층의 의료 보장 공백 사태를 미리 방지할 대안을 마련하자는 의미다. 

쉽게 말해, 공적 건강보험에서 보장치 못하는 영역을 100세 만기 암보험이나 치매보험, 연금보험과 같은 노후 민간보험으로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보험연구원 김세중 연구위원은 '인구 고령화가 건강보험 수요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고령화로 정액보험과 상해보험, 연금보험, 질병보험의 수요 확대를 예상했다. 해당 보험들 모두 고령 보험 가입자에서 활용도가 높거나 다소 유리한 형태의 보험이다.

정액보험의 경우 사고 발생 시 미리 계약한 일정에 따라 보험금을 지급받는 보험이다. 노후에 보험 청구가 늦게 발생해도 금액의 감소를 회피할 수 있다.

상해보험이나 연금보험 역시 고령층에서 이용 가치가 높다는 평가를 받는 보험이다. 

이 같은 활용법은 치매보험에도 적용이 기대된다. 고령화로 평균 수명이 증가하면서 치매 발병 가능성이 대폭 증가하기 때문이다. 

실제 치매 유병률은 연령에 따라 급격히 증가한다. 65세 기준으로 5세가 늘면 유병률은 2배씩 상승한다. 65~69세에는 약 2~3%에 그치지만, 80세 이상에서는 20%에 달한다. 

생보사들도 고령 인구의 증가로 치매보험을 노후대비 필수품으로 발전시키는 추세다. 간병생활 자금 지원, 치매예방·케어 프로그램 등의 특약을 추가하는 방식이다. 

치매보험을 필두로 고령층의 노후 대비를 위한 민간보험의 활용도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또한, 보고서는 개인의 기대수명 증가가 은퇴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충분한 노후소득 확보를 어렵게 만들고 의료비용 지출 부담까지 유발한다고 분석했다. 

치매의 경우 인지력 저하로 소득 활동 단절 가능성이 높아 보험을 통한 대응책 마련의 필요성이 더욱 높은 영역이다. 

김세중 연구위원은 "의료비 인플레이션은 소비자 물가상승률보다 높아 이를 고려할 경우 총 의료비 지출 규모는 매우 빠르게 증가할 것"이라며 "민간보험이나 정책 지원을 통한 대응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고령인구 증가로 의료 비용 상승 압력이 더욱 높아지면서 다양한 회피 수단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