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안심센터 직역 쏠림 문제, 협약병원 불균형 여전
치매안심센터 직역 쏠림 문제, 협약병원 불균형 여전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2.10.20 17: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상심리사 부족과 지역별 치매 인프라 양극화 우려 
▲보건사회연구원

치매안심센터에서 진단검사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임상심리사가 전체인력의 2.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지침을 통해 임상심리사가 진단검사 업무를 수행하도록 권고하는데, 인력 부족으로 진단검사의 전문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대목이다. 

전체 직종별 현황을 보면 간호사가 55.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사회복지사 16.3%, 작업치료사 14.1%인 반면 임상심리사는 2.5%에 그쳤다.

최근 보건사회연구원은 보건복지포럼 '치매정책 현황과 과제'를 통해 치매안심센터의 운영 현황을 공개했다. 

치매안심센터의 진단검사는 선별검사 결과에 따라 인지저하 또는 인지저하 의심군을 대상으로 임상심리사나 간호사가 신경심리검사를 진행한다. 이후 협력의사가 치매 임상평가를 수행한다. 

간호사도 치매전문교육 등 추가교육을 통해 신경심리검사를 진행할 수 있지만, 전문 교육과정을 거친 임상심리사와 비교하면 전문성은 다소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미 임상심리사 수급 불균형은 수년 전부터 문제로 지목됐지만, 개선을 위한 실마리를 찾지 못한 상태다. 원인으로는 임금 등 유인수단 부족이 지목된다.

지역별 협력병원의 편차도 문제다. 2021년 9월 기준, 치매안심센터와 협약한 병원은 1,203곳으로 센터당 평균 4.7곳의 협약병원과 교류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세부 내역을 보면 지역별 불균형은 생각보다 심각했다. 울산은 평균 9.2곳의 협약병원을 보유한 반면, 강원도 지역은 1.8곳에 불과한 탓이다. 

통상 치매안심센터의 인력을 활용해 진단검사를 실시하고, 이후 협력병원을 통한 치매 임상평가가 이뤄진다. 하지만 관련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은 검사가 원활히 진행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이에 센터 내에 임상심리사나 간호사가 없고 교류하는 협약병원이 적은 지역에 대해서는 선별검사 이후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치매안심센터 고용 충족률과 계약직 형태의 근무 환경도 아쉬운 점으로 꼽혔다.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의 근무자 정원은 6,284명이지만, 현재는 4,845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충족률로 환산하면 77.1% 수준이다. 

무기계약직 비율은 평균 68.9%며, 기간제 계약직은 25.9%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이 100% 무기계약직을 고용했고, 부산이 75%로 기간제 근무자 비율이 가장 높았다. 

즉, 외연 확대에도 불구하고 지역별 여건 차이에 따라 기관의 운영편차, 인력 수급난 및 안정성 저하, 사업 불균형 등이 발생해 종합적 치매관리 기능에 한계를 유발한다는 해석이다. 

이선희 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고령화에 따른 치매환자 증가와 사회적 요구 확대를 고려하면 센터가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치매안심센터의 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업무범위 재편, 조직 운영의 안정성·전문성 담보,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