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률 1%도 안되는 치매약 개발, 정부지원 확대 '한목소리'
성공률 1%도 안되는 치매약 개발, 정부지원 확대 '한목소리'
  • 최봉영 기자
  • 승인 2017.08.31 16: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에도 개발업체 기대감은 미미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에 따라 치매치료제 개발에 대한 관심이 뜨겁지만, 정작 해당 개발업체들은 뜨뜻미지근한 반응이다.

정부 R&D 지원이 일부 확대될 수도 있다는 막연한 기대감은 있지만, 제약업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만한 정도의 지원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생각이 팽배해 있기 때문이다.

31일 제약업계 관계자는 "내년 정부 R&D 지원예산의 세부적인 항목은 아직 나오지 않아 속단할 수는 없지만, 현재보다 큰 폭의 예산 확대는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내년에 집행되는 치매 관련 예산을 봐도 직접적인 R&D 지원 예산은 크게 늘어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는 올해 154억원이던 치매관리체계 구축 예산을 2018년 2,332억원으로 15배를 늘렸다. 이 예산은 치매안심센터 구축과 안심병원 예산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반면 국가치매극복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 예산은 98억원을 배정했다. 여기에는 치매치료제 개발 뿐 아니라 진단·돌봄기술개발 등에 대한 지원이 포함된 금액이다.

현재 치매약 개발을 진행 중인 국내제약사는 다수가 있다.

노인성 치매 알츠하이머 치료제는 베타-아밀로이드 억제제를 개발하는 일동제약, 대화제약, 동아에스티, 메디프론, 환인제약 등이 있다. 또 줄기세포 치료제를 활용한 치매약 개발업체는 제일약품, 메디포스트, 차바이오텍, 네이처셀, 젬백스 등이다.

이들 업체에 대한 정부 지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개발 중인 제품이 정부 지원과제에 선정되면 연구비 지원을 받는다. 적게는 10억원 미만에서 많게는 수십억원 이상을 지원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치매약의 경우 개발 실패율이 워낙 높기 때문에 정부 지원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실패율이 높은만큼 다른 치료제보다 지원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글로벌 기준으로 2002년에서 2012년 사이 진행된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413건의 임상시험 중 최종 허가를 받은 제품이 단 1개에 불과하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치매약 개발에 성공한 곳은 단 한군데도 없다.

A 제약사 개발부 관계자는 "치매약의 경우 약의 효과가 있다고 해도 이를 입증하기가 매우 어려운 임상 과제"라며 "실패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한 분야"라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정부 R&D 지원을 보면 다수 제약사에 적은 금액을 지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소수 제약사에 대규모 지원을 하는 방식으로 바꿔 제대로 된 치료제 하나라도 개발하는 게 낫다"고 강조했다.

의료계에서도 치매국가책임제가 성공하기 위해 치매환자에 대한 관리 뿐 아니라 예방이나 치료 분야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나와있는 치매약은 증상을 완화해 주거나 진행을 늦춰주는 수준에 머물러 있어 근본적인 치료제 개발이 절실한 상황인만큼 정부 전폭적인 R&D 지원은 신약 개발을 단축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디멘시아뉴스 최봉영 기자(bychoi@dementianew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