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 치매, 뇌혈관장벽 조절 타깃 발견‧…치료제 개발로?
노화 치매, 뇌혈관장벽 조절 타깃 발견‧…치료제 개발로?
  • 조재민 기자
  • 승인 2018.10.04 10: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북대 연구팀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네이즈 억제로 노화 치매 치료 가능성 확인”

노화 치매에서 나타나는 뇌혈관장벽 손상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타깃이 제시돼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경북대 배재성, 진희경 교수 연구팀은 노화 치매에서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네이즈(ASM)에 의한 뇌혈관장벽 손상 기전을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최근 뇌혈관장벽의 손상이 노화 치매를 포함한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의 주된 병변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어 뇌혈관장벽 호전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뇌혈관장벽은 뇌신경세포의 기능 유지 및 뇌조직 내 미세환경 조절을 위해 혈액으로부터 필요한 영양분들은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위험 물질은 제한하는 관문이다. 연구팀은 65세 이상의 사람 혈장과 노화 동물모델의 혈장 및 뇌조직에서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네이즈의 활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특히 이러한 비정상적인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네이즈의 증가는 주로 뇌혈관장벽을 구성하는 뇌혈관내피세포에 의한 것임을 발견했다.  

연구결과, 노화 동물모델에서 증가된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네이즈는 뇌혈관내피세포의 사멸을 유도했다. 또 세포의 투과성과 관련된 구성물질인 카베올래를 유입시켜, 뇌혈관장벽의 투과성을 증가시켰다. 

이로 인해 뇌조직 내 혈장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유출됐고, 이같은 뇌혈관장벽 투과성 증가는 신경세포 및 신경조직의 손상을 유발해 기억력을 감퇴를 야기한다. 

연구팀은 이어 유전적으로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네이즈가 억제된 노화 동물모델에서는 뇌혈관장벽의 투과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로 인해 신경세포 손상이 감소돼 감퇴된 기억력이 향상됐다. 이 결과는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네이즈의 억제에 의한 노화 치매 치료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배재성 교수는 “이 연구는 노화 치매에서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네이즈가 뇌혈관장벽을 조절할 수 있다는 새로운 역할을 제시한 것”이라며 “우리 연구실에서 개발 중인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네이즈 억제 약물이 노화 치매를 포함한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 신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해당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기초연구실)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국제학술지 뉴런(Neuron)에 9월 28일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