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요 국가들의 치매예방·관리 어떻게 이뤄지나?
해외 주요 국가들의 치매예방·관리 어떻게 이뤄지나?
  • 조재민 기자
  • 승인 2019.02.13 17: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주도 치매예방 관리와 인식 개선 등 중점 진행

치매예방이 치매관리의 주요 방안으로 떠오르면서 해외 사례도 주목받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치매환자 증가 추이를 반영할 경우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오는 2020년 15조2,000억 원으로 GDP(국내총생산)의 약 1.0%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산되면서 예방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치매에 대한 획기적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는 한 의료 측면뿐 아니라 예방이나 돌봄의 지원 서비스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강화돼야 한다는 데 전문가 의견이 집중되고 있다.

13일 보건의료연구원 학술지 등에 따르면 주요 선진국가인 영국-미국-일본 등 역시 치매관리를 주요정책으로 수립하고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치매 예방 인식 전국캠페인 실시

영국에서는 치매 예방 인식을 강화하기 위한 전국캠페인 실시에 집중하고 있다. 

치매예방 공공캠페인(campaign for prevention: inclusion of a strong prevention message)으로 ‘심장에 좋은 것은 머리에도 좋다’는 구호를 내세워 이를 홍보하고 있다.

특히 치매대응력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강화를 위해 1차 의료와 연계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전문가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진단, 치료 및 정보 제공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 제공과 관련해서는 1차 진료의에 대한 치매 교육을 강화해 치매대응역량 향상을 도모하고 있으며, 진단도구 사용법, 초기 증상 등을 포함한 1차 진료 의사들의 치매감별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치매돌봄경로(dementia care path) 확립을 위해 NICE/Social Care Institute of Excellence(이하 SCIE) 지침에 따라 진단 후 돌봄을 위한 정보 제공도 권고하고 있으며, 학교교육 및 봉사 강화를 위한 서포터즈 양성 사업인 'Dementia friends & Dementia champions'를 도입해 치매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또  일반인 대상 정보제공, 교육으로 일반인 대상 및 지역 맞춤형 캠페인을 통해 치매환자와 가족들 간 상호작용 관련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영국은 치매진단 및 돌봄 서비스 개선, 치매 친화적 지역사회 조성, 연구 촉진에 초점을 두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미국, 예방 등 표준화된 교육 자료 제공 

미국은 치매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예방인식 강화의 일환으로 뇌 건강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게 특징이다.

해당 자료의 경우 ▲Administration for Community Living(지역사회거주관리청) ▲National Institute of Aging(국립노화연구원)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질병관리예방센터) 등에서 주로 제공한다.

노인, 장애, 공중보건 네트워크 내의 전문가에게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인들을 교육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교육자료(뇌 건강에 대한 공공정보)를 개발 제공하고 있다.

또 국립보건원 뇌 건강에 대한 툴킷(toolkit)인 'Brain Health Resource'를 개발해 사람들에게 뇌 기능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활동 방법을 알리려는 활동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치매환자 인권 증진을 위해 노인 학대와 관련한 홈페이지를 개설해 노인 학대의 유형, 간병인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 및 도움을 주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불어 치매환자의 조기검진 및 진단을 위한 지침·도구 개발이나 보급이 있는데, NIA에서는 1차 의료의사를 위한 노인환자 인지기능평가 간편 지침(Assessing Cognitive Impairment in Older Patients: A Quick Guide for Primary Care Physicians) 개발과 보급 전략을 마련했고, ‘Mini-portal’을 통해 의사들이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한편, 미국은 오는 2025년까지 알츠하이머 예방과 효과적 치료, 돌봄의 질과 효율성 향상, 알츠하이머 환자와 가족을 위한 지원 확대, 대중의 인식개선과 유대감 강화, 정부 부처와 연구기관의 치매관련 데이터 접근성 향상을 위한 데이터 인프라 개선 등의 목표로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일본, 지역여건 맞는 빅데이터 활용

일본의 경우 지역별 여건이나 특징을 고려한 치매예방활동을 진행하는 게 특징이다.

치매예방 및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 예방프로그램으로 인지 활동을 위한 체조교실 등 지역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예방전략 개발을 위해 주민, 정부, 기업이 함께 지역 전체의 고위험군에 대한 치매예방 계획을 개발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게 눈에 띄는 점이다.

학교 교육 및 봉사 강화를 위해서는 대학생 중심으로 치매 관련 봉사활동을 추진하고, 서포터즈를 양성하고 있다. 

일반인 대상 홍보 강화로 편견 및 낙인 최소화, 치매환자 발언권 보장을 통한 치매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전국적 캠페인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치료지원을 위해 약물 남용방지 모니터링 계획과 지침개발을 의무화하고 있다. 

순환형 치매관리 전달체계 확립을 통해 환자가 특정 시설에 고정되지 않도록 유도해 적절한 약물사용 및 행동증상이 다양한 서비스 체계에서 상호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외에도 장기요양제도 하에서 치매환자 약물치료에 대한 표준지침을 수립하고, 이를 의료 인력 및 기관에 전달해 약물 오남용 방지를 도모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일본은 치매를 이해하기 위한 일반 대중의 인식개선 강화, 치매상태에 따른 적절한 치료 및 돌봄 제공, 초로기치매 정책 강화, 돌봄자를 위한 지원, 치매환자와 노인을 위한 치매-친화적 지역사회 개발 강화, 치매연구 강화, 치매환자와 돌봄자 중심의 전략을 제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