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치매인구 5000만 시대, 국제 사회의 대응은
세계 치매인구 5000만 시대, 국제 사회의 대응은
  • DementiaNews
  • 승인 2017.05.12 12: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 치매인구가 5000만명에 육박하면서, 국제사회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비만과 함께 치매가 국제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면서, 치매에 대한 국제적 공동대응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학계에 따르면 최근 WHO, UN, OECD 등 국제기구들은 치매에 대한 국제적 공동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이는 이미 치매가 어느 한 국가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국제알츠하이머협회(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ADI)에 따르면 세계 치매인구의 숫자가 2015년 이미 5000만명에 육박하며 2030년에는 그 수가 7469만명, 2050년에는 1억 3145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치매관리비용의 증가가 사회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도 세계적 현상이다.

2015년 전 세계 치매관리비용은 8180억 달러(966조 6306억원)으로 전 세계 GDP의 1.09%를 차지했다. 이는 네덜란드나 인도네시아, 터기의 국가 GDP와 비슷한 규모이며 애플(7420억 달러), 구글(3680억 달러)의 시장가치보다 규모가 휠씬 크다.

또한 이 수치는, 2010년 6040억 달러(713조 7468억원)에 비해 5년간 무려 35.4%가 증가한 수치로, 증가속도 또한 가파르다. OECD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치매관리 비용은 2018년에는 약 1조 달러(1181조 7000억원), 2030년에는 약 2조 달러(2363조 4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치매 치료는 물론 장기요양서비스 강화, 재가조호(간병) 지원서비스 확충, 치매에 대한 사회적 편견 타파, 보다 안전하고 적절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등 치매부담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전략들을 실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나은 치매정책수립을 위해 국제공조를 강화하자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WHO는 2015년 3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제1회 '국제 치매대응전략 모색을 위한 장관급 회의'를 개최해 회원국들에 보건정책상 치매의 우선순위를 상향조정하도록 요구했다.

또 보건복지체계, 파트너쉽, 연구를 통한 데이터 분석, 역학 동향, 치매 정책 수립 및 적용, 국가의 계획 실행 등을 위해 정보를 제공할 국제 치매정보공유허브로 WHO 산하에 'Global Dementia Observatory(GDO)'를 설치하기로 하고 후속 실무회의를 진행 중이다.

아울러 WHO는 치매환자 및 가족조호자의 돌봄 지원을 위해 'iSupport'라는 웹 프로그램을 개발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치매환자를 돌보는 조호자들에게 근거 중심의 교육, 조호기술훈련, 사회적 지지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OECD는 2014년 11월 일본에서 개최된 'G7 Dementia Legacy Meeting'에서 치매 극복을 위한 국가의 전략적 접근 체계인 10대 핵심치매정책을 제시했고, 이를 2015년 3월 'Addressing Dementia: The OECD Response'라는 보건정책 보고서로 발간했다.

보고서는 치매 관리의 초점을 치매 치료 중심에서 치매환자와 그 가족들의 삶의 질 향상 중심으로 전환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특히 서비스 공급자인 정부의 관점이 아닌 수요자인 치매환자와 가족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치매 발병 전부터 생애 말기까지 치매 유무 및 중증도에 따라 단계별 맞춤형 치매대응경로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알츠하이머협회 국제 연합 기관인 ADI는 WHO와 공식적인 파트너쉽을 맺고, UN의 특정분야 협의 지위를 통해 UN 회원국을 상대로 치매 분야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WHO와 함께 매년 9월 21일을 ‘세계 치매의 날(World Alzheimer’s Day)’로 지정해 치매에 대한 인식개선 및 낙인 최소화를 위한 국제적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고, 매년 다양하고 중요한 치매 관련 주제로 세계 알츠하이머 보고서(World Alzheimer Report)를 발간하고 있다.
 
이 밖에 알츠하이머 유럽연맹(Alzheimer’s Europe, AE)은 2014년 Glasgow Declaration을 통해 치매를 유럽연합(European Union; 이하 EU)의 중요 아젠다로 격상시켰고, 유럽의 치매전략과 국가별 국가치매관리계획의 수립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AE는 치매환자와 조호자들의 발언권 강화, 치매의 유럽 보건정책 우선순위 추진, 권리 중심의 접근법 추진, 치매연구 지원 강화, 유럽의 치매운동 강화 등 다섯 가지 전략 목표 하에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개년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런 세계적 추세에 힘입어 치매관리를 강화해 나가고 있으나, 아직은 보완할 점이 많다는 지적이다.

우리나라 치매관리정책은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6년~2020년)'을 근간으로 한다.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의원급 만성질환 관리사업을 통해 치매 위험을 높이는 비만, 고혈압, 당뇨병을 자가 관리토록 지원한다는 것이 그 핵심이다.

의료계 관계자는 "보다 구체적인 치매예방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며 "아시아의 치매 선도 국가로써 해외 선진 국가 간의 좋은 사례를 서로 공유해 국가 간의 지역사회 단위의 네트워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디멘시아뉴스 dementianews@dementianews.co.kr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