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 실종 방지, 기술적으로는 우수…현실은 어떨까?
치매환자 실종 방지, 기술적으로는 우수…현실은 어떨까?
  • 최봉영 기자
  • 승인 2017.10.27 16: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실종방지 기술 진화해도 안 쓰면 무용지물

치매환자가 늘어날 수록 질환으로 인한 실종환자도 날로 증가하고 추세지만 그 대책은 요원한 상황이다.

특히 기술적으로는 실종 환자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많아졌지만 그 수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왜 그럴까? 결국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그 기술을 쓰는 데 관심이 없다면 무용지물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근 위치기반서비스 등을 활용한 기기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치매환자의 경우 실종의 가능성이 그만큼 높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기기 개발도 한창이다.

SK텔레콤은 사물인터넷 (IoT) 전용망 로라네트워크를 활용해 위치추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위치추적 단말기 '지퍼'를 보호자의 스마트폰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하고, 치매 노인에게 목걸이 형식 등으로 항상 지니고 다니게 하기만 하면 실시간으로 해당 위치를 파악하는 게 가능하다.

지퍼를 지니고 다니는 노인들 역시 본인이 위험에 처했을 경우 SOS 버튼을 눌러 보호자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KT도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KT가 개발한 GPS단말기는 치매로 집을 나가거나 실종된 어르신의 위치와 이동 경로를 가족이나 보호자에게 실시간 알려주며, 치매어르신 실종 사고 발생 시 쉽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했다.

또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치매어르신 안전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치매어르신 팔목에 밴드형 단말기를 착용하면, 전국 어디서든지 치매어르신의 이동경로가 보호자의 스마트폰에 표시된다.

또 정부에서도 치매노인 등이 GPS가 내장된 배회감지기 등을 배포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면 보호자가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용이하다.

이같은 기술을 활용할 경우 치매 환자가 실종해도 찾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실종되는 치매환자는 매년 급속하게 늘고 있다. 2012년 치매환자 실종신고는 7,650여건이었으나, 2016년에는 9,869건으로 증가했다. 또 올해 8월까지 실종신고는 총 6,971건으로 올해 전체는 작년 수치를 훌쩍 뛰어넘을 것으로 예측된다.

실종되는 치매환자를 찾을 수 있는 기술이 있음에도 그 기술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입증하고 있는 셈이다.

지자체 관계자는 "치매안심센터 등을 통해 배회감지기 등을 배포하고 있지만 활용하는 비율은 높지 않다"고 말했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배회감지기나 단말기 등을 간단한 신청을 거쳐 무료로 사용 가능하지만, 가족들은 그 사실을 몰라 사용하지 못하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보인다.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에 따라 정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디멘시아뉴스 최봉영 기자(bychoi@dementianew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