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천만 시대 치매예방 주목, 우울 경감 효과 '포착'
반려동물 천만 시대 치매예방 주목, 우울 경감 효과 '포착'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2.11.29 17: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정 우울과 코티솔 스트레스 호르몬 감소 확인
출처. 인문사회 21
출처. 인문사회 21

반려동물 천만 시대에 접어들면서 반려견과의 교감 행위를 통한 치매 예방 및 관리 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반려동물 치유 프로그램의 경제적 가치가 부각됨에 따라 보편적 활용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를 증명한다. 

최신 연구를 통해 반려동물과의 교감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과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 혜택이 점차 포착되는 추세다. 

최근 원광대학교 반려동물산업학과 이현아 교수는 아시아문화학술원 학술지 인문사회 21을 통해 '반려견과의 교감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결론부터 보면 우울 점수 전체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 긍정적인 성향의 지표는 늘고, 부정 및 우울감은 줄어든 것이다. 생리적 지표인 코티솔 스트레스 호르몬 분석에서도 긍정적 스트레스 감소 효과가 관찰됐다. 

이번 연구는 반려견과의 교감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마련됐다. 

실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경우 인지 기능 저하 및 기분이나 행동 변화와 같은 정서적 증상들이 동반된다. 그중 우울증을 앓는 비율이 20.1~44.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연구진은 A 지역의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12명을 동질적 실험집단(6명)과 통제집단(6명)으로 분류했다. 이를 토대로 활동 도우미견 2마리를 활용한 교감 프로그램을 주 1회, 50분, 총 12회기로 실시했다. 

효과 검증을 위해 반려동물과의 교감 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 및 재구성했다. 이후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우울 평가척도와 코티솔 측정 검사를 적용해 분석했다. 

교감 프로그램은 ▲초기(소개하기, 교감하기, 집 만들기) ▲중기(동물 그리기, 윷놀이, 주사위 놀이, 스카프 만들기, 좋아하는 계절 그리기, 실내산책 ) ▲말기(실외산책, 추억 남기기, 감사 편지 만들기)로 배치했다.

우울척도 분석은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 단축형(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GDSSF-K)을 사용했으며, 생리적 측정은 코티솔 호르몬 농도를 효소 면역 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분석했다. 

코티솔 측정 검사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작용하는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심전도, 호흡량, 피부 온도, 클루코코르티코이드(코티솔) 분비량, 노르에피네프린 분비량 등이 지표로 활용된다. 

프로그램 진행 후 실험집단의 우울감 변화를 관찰한 결과, 사전‧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Z=-2.23, p<.05). 하위영역에서는 우울감 개선의 긍정 지표(Z=-2.07, p<.05)가 늘었으며, 부정적인 우울감 요인(Z=-2.23, p<.05)은 유의미한 감소 효과를 얻었다. 

우울 점수검사와 코티솔 측정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관측됨에 따라 반려동물과의 교감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과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한 것이다. 

연구진은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차후 연구에는 뇌파 분석과 같은 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반려동물과의 교감 효과 검증의 한계점을 보완해야 한다는 해석이다. 

이외에도 발전된 교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부재와 부족한 참여 인원에 따른 일반화의 한계가 개선점으로 지목됐다. 

이현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반려견 교감 프로그램에서 예술치료나 정원 치유와 유사한 효과를 확인했다"며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반려견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된 것"이라고 밝혔다. 

<논문>
이현아. 2022, "반려견과의 교감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vol.13, no.5 pp.3447-3460. 

DOI http://dx.doi.org/10.22143/HSS21.13.5.239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