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국가책임제로 시작될 일자리 변화는?
치매국가책임제로 시작될 일자리 변화는?
  • 조재민 기자
  • 승인 2018.03.07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예방사업 활성화 및 노인참여 일자리 활성화 예상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해 국가적인 치매예방사업에 돌입하면서 노인관련 실버 산업과 일자리에도 변화가 올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미 산업은 치매예방과 관리에 관련된 사업에 본격적으로 돌입했으며 기존보다 양질의 노인 일자리도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7일 '치매예방과 어르신일자리 창출방안' 토론회를 통해 사회적협동조합연합중앙회 한성석 회장은 치매국가책임제 이후 변화될 일자리에 대해 밝혔다.

국회예산정책처의 '60세 이상 고령층의 고용 특징 및 시사점 분석'에 따르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지난 2012년 311만명에서 2017년 2분기 기준 425만명으로 114만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이에 한성석 회장은 국가적으로도 양질의 노인일자리 창출에 대해 고민하고 본격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한다는 입장이다.

치매예방으로 노인의 사회활동 수명이 늘어남으로써 노동의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그동안 고용의 질이 좋지 못했던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성석 회장은 "먼저 국비사업으로 지원해 온 노인돌봄사업과 유사한 노노(老老)케어사업에서 4,550개 이상 일자리를 달성하는데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며 "이외에도 공공공기관이 일자리 창출 모델을 만들어 선도하면 민간기업이 더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고 제언했다.

실제 한국토지주택공사는(LH)는 2010년부터 1만 2000명의 '시니어 사원'에게 홀몸노인 돌봄 서비스, 공공임대아파트 관리, 입주민 자녀 방과후 학습지도 등 일자리를 제공해 고령화 사회의 일자리 창출법을 증명했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일자리의 추치에만 집착하지 말고 일자리 내용과 질도 감안해 시장에서 납득할 수 있는 정책 조합을 내고 공공기관이 먼저 일자리 창출 모델을 선보여 사회-경제적 구조개형을 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실버세대를 위한 신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기업도 활발하다.

IoT 기반 스피커와 지팡이는 물론 중장년층 전용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출시를 앞두고 있고 치매와 뇌졸중 등의 치료에도 인공지능(AI)와 빅데이터 분석이 접목되고 있다.

네오펙트는 AI와 IoT를 활용해 뇌졸중 치매 등 재활훈련 기기를 제작한다. 기업용 챗봇을 개발한 마인즈랩은 시니어 헬스케어 분야로 영역을 넓혀 AI로 진료기록 등을 분석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기업들이 치매예방 및 치매 재활 등을 위해 실버산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헬스케어 등도 큰 기대를 받고 있지만 관련 법이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한성석 회장은 "치매의 사회적 비용이 급등으로 미래형 치매예방정책으로 이를 예방 시켜여 한다"며 "이 과정에서 치매노인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 치매관련 산업들에 대한 지원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디멘시아 뉴스 조재민 기자(jjm5352@dementianew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