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새로운 치매진단 기준 제시, 국내 지침에도 영향 있을까?
美 새로운 치매진단 기준 제시, 국내 지침에도 영향 있을까?
  • 최봉영 기자
  • 승인 2018.05.09 18: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상연구 분야 조기진료와 예방으로 패러다임 전환 전망...진료현장 영향은 없다

최근 미국에서 치매와 관련한 학회와 연구소 등이 치매 진단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함에 따라 향후 국내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치매를 직접 다루는 진료 현장보다는 연구 분야에서 직접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감지된다.

지난달 미국 알츠하이머병학회와 국립노화연구소는 치매 진단 기준을 표면적 증상이 아닌 생물학적 지표로 변경할 것을 제안했다.

현재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을 인지기능과 행동이상을 기준으로 했으나, 새롭게 제시된 지침은 뇌 병변의 변화에 근거하는 생물학적 지표를 중심으로 바꾸자는 얘기다.

이 기준이 치매진료 기준으로 사용될 경우, 치매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정상인들도 치매 환자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다.

치매 증상이 전혀 없는 노인들 중에서도 뇌스캔이나 뇌검사 등에서 치매 지표가 될 수 있는 생물학적 변화가 감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까지는 생물학적 변화가 감지된 지 15~20년이 걸릴 수 있다.

다만 치매 지침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 연구자들은 진료 현장보다는 치매와 관련한 임상연구 분야에 적용돼야 하는 지침이라는 점은 분명히 했다.

이는 글로벌제약사들이 추진 중이었던 치매치료제가 잇따라 임상 최종 단계에서 실패한 것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치매치료제 임상에 참여하는 환자들 대부분은 치매가 진행돼 인지기능에 이상이 온 환자들이다. 이들 대부분은 이미 뇌손상이 상당히 진행돼 회복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현행 임상시험은 이미 뇌세포가 상당 부분 손상된 시점에서 치매약을 투여하기 때문에 인지기능을 뚜렷하게 개선해야 하는 임상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웠다.

새로운 치매 진단 지침이 연구 분야에 적용되면 생물학적으로 치매 가능성이 있는 환자들을 임상시험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같은 방안이 현실화될 경우 치매를 완치할 수 있는 개념의 치매약이 아닌 조기 진단과 예방적 치료제 개발로 패러다임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의료 현장에서도 치매는 이미 진단을 받을 경우 돌이킬 수 없는 질환이기 때문에 예방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과 의견을 같이 하는 지침 변경인 셈이다.

미국 진료 지침 변경이 확립될 경우 국내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대한치매학회 관계자는 "미국의 새로운 치매 진료 지침은 임상현장에서 적용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기 때문에 진료현장에서는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연구분야에서는 (해당 변경안을 받아들이기까지)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고 말해 향후 임상 분야에서는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현재 국내 치매관리는 치료보다는 돌봄 분야에 주요 정책이 집중돼 있다. 미국의 치매진단 기준 변경은 치료보다는 조기 진단이나 예방적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만큼 국내에서도 치매 정책의 중심 축이 전환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디멘시아뉴스 최봉영 기자(bychoi@dementianew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