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신직업 치매전문인력 지원 예고…"양성 인프라 조성 필수"
미래 신직업 치매전문인력 지원 예고…"양성 인프라 조성 필수"
  • 조재민 기자
  • 승인 2018.12.28 17: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교육 확충 등 장기간에 걸친 치매전문인력 양성책 마련해야"

정부가 치매전문 인력을 미래 신직업으로 지목하고 지원 및 육성을 예고하면서 성공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린다.

앞서 치매국가책임제 실시를 앞두고 전문인력 양성이 선행돼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이어졌지만, 현재 치매안심센터 협력의사 외에도 치매안심병원 전문의와 간호인력 등 전문인력 부족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치매전문 인력이 미래 신직업으로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전문인력 육성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게 의료계 전문가의 조언이다.  

최근 '제3차 경제활력대책회의' 및 '제23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신서비스 분야 중심의 신직업 활성화 방안'이 논의됐다.

해당 논의를 통해 치매전문인력, 유전체 분석가, 의료기기 등이 헬스케어 지원세부 사항으로 선정됐다. 신직업 관련 산업 활성화 및 장애요소 제거, 법적 토대 마련, 인력양성 등을 통해 헬스케어 분야 신직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치매전문인력의 경우 인구 고령화로 인해 수요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치매 전문교육체계 확충과 치매전담형 요양시설 등 종사자 교육 이수 활성화를 우선 추진한다.

내년 시설종사자 등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에 착수하고 교육 이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오는 2020년 이후에는 치매전문교육 진행 상황 점검에도 나선다.

현재 복지부는 인구 고령화로 치매 환자가 증가하고 환자가족 부담이 가중돼 전담간호사 등 치매 전문가 확보 시급성을 인지하고 우선적으로 해결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복지부는 “치매 전문가는 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요양보호사 등에 치매전문교육을 실시해 2022년 5,000명까지 확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의료계 관계자는 해당 움직임에 대해 치매분야 지원은 긍정적인 요소로 보고 장기적인 양성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관계자는 “인력 수급이나 교육 등은 단기간에 이뤄지는 것들이 아니다. 앞서 치매국가책임제 등에서도 강조됐던 내용들이지만 그때도 단기간에 인력 수급을 하지 못했다”며 “이번 대책을 통해 장기간에 걸쳐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