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성 난청 유도 동물실험 통해 청력 손실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매환자인 경우 청력 손실이 기억력 감소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국내 연구진을 통해 발표됐다.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박민현 교수팀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박민현 교수 연구팀은 전도성 난청이 유도된 알츠하이머 동물 실험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들의 Y-maze 행동평가 실험 및 양전자 단층촬영(PET), 자기공명영상(MRI) 결과를 난청이 없는 대조군과 비교해 청력 손실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행동평가 실험 결과, 난청이 유도된 실험군의 경우 치매 증상만을 가진 대조군에 비해 공간을 기억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를 위해 설계된 공간 탈출에 소요된 시간을 토대로 기억 손상 정도를 비교한 결과에서 난청 발생 후 3개월이 지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손상이 약 2배가량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연구진은 난청이 지속될 경우 치매로 인한 기억력 감퇴가 더욱 빨리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했다.
또 뇌 영상 분석 결과에서는 난청이 대뇌 포도당 대사 기능 및 회백질 농도 감소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난청 유도 후 7개월이 지난 실험군은 대뇌 넓은 영역에서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회백질 농도가 확인되었으며, 뇌의 혈류 및 대사 상태를 측정하는 SPM(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분석에서는 난청이 지속될수록 학습과 기억 능력을 수행하는 대뇌 해마 부위의 포도당 대사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 교신저자인 박민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난청 등에 의한 청력 손실이 치매의 주요 증상으로 알려진 기억력 감소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특히 정보전달과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대뇌 특정 부위의 기능 저하가 확인된 만큼, 치매를 가지고 있는 환자는 증상 관리를 위해 자신의 청력도 주기적으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해외 유명 학술지인 ‘신경과학 선도저널(frontiers in neuroscience)’에 지난 8월 게재됐다.
<논문> Kim JS, Lee HJ, Lee S, Lee HS, Jeong YJ, Son Y, Kim JM, Lee YJ, Park MH. Conductive Hearing Loss Aggravates Memory Decline in Alzheimer Model Mice. Front Neurosci. 2020 Aug 13;14:843. doi: 10.3389/fnins.2020.00843.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10.3389/fnins.2020.00843
- [곽용태 칼럼] 며느리와 시어머니 이야기
- 청력 저하와 인지기능 변화 연관성 규명 연구 추진
- 중앙대병원, 치매 위험인자 '난청' 작용 기전 규명
- "치매위험 높이는 난청, 보청기 보급율 높여야"
- 불치병 '치매', 생활 습관으로 예방 가능하다
- 심장리듬 정상화 시 치매 위험 감소 확인
- 대한노인의학회, 추계학술대회 개최
- 보라매병원, ‘한국형 치매임상시험지원 등록시스템 구축사업’ 참여
- 대국민 치매예방 열쇠, 난청 치료와 보청기 지원 '투트랙 전략' 필요
- 난청과 치매 발병 주목, 고령인원 보청기 확대 방안 '급부상'
- 난청과 인지기능 연관성 주목, "치매 위험 감소 효과 기대"
- 고도난청, 치매발병 위험 일반인 5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