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연구 효율 높이려면?…뇌조직은행 구축 확충 필수"
"치매 연구 효율 높이려면?…뇌조직은행 구축 확충 필수"
  • 최봉영 기자
  • 승인 2017.07.26 16: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연구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뇌조직은행을 확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후 부검을 통한 신경병리학적 검사만이 치매 확진의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이 그 이유다.

25일 질병관리본부는 '치매 뇌조직 구득 및 신경병리기반 치매진단 표준화 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치매에 대한 국가적 부담이 커짐에도 불구하고 국가 치매 R&D 투자는 2014년 기준으로 국가 전체 연구개발사업의 0.2%에 불과하다.

또 치매 R&D 인프라 규모도 부족해 치매연구사업 투자액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져 산업 및 경제적 파급효과도 미흡한 실정이다.

연구원은 "치매연구 인프라 중 치매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우선적으로 확충돼야 할 것은 치매 뇌조직 확보, 보관 및 운영이 가능한 치매 뇌조직은행을 구축·운영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같은 제안의 배경에는 치매환자 임상진단 결과가 병리학적 확정진단과 다른 경우가 많이 있다는 데 기인한다.

2013년 발표된 'Shim YS, Roe CM, Buckles VD, Morris JC. 2013. Clinicopathologic Study of Alzheimer’s Disease' 연구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생전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단된 환자 533명을 부검해 진단한 결과, 이들 중 119명이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판정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이 연구에서 알츠하이머 임상진단 부정확성은 22.3%에 달했다.

이에 따라 임상현장에서 치매진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후부검을 통한 신경병리 기반의 치매진단 표준화 연구가 시급하다는 것이 연구자의 주장이다.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뇌질환과에서는 2016년부터 뇌조직은행 구축 및 신경병리기반 치매진단 표준화 연구용역을 발주해 뇌기증 활성화 및 뇌조직 구득체계 확립, 뇌조직 구득 및 임상자원 수집, 신경병리기반 치매진단 표준프로토콜 수립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뇌기증 홍보활동을 통해 지난 1년간 70명의 뇌기증 동의자를 모집했고, 뇌기증 동의자 중 6명이 사망해 6례의 치매환자 뇌조직을 구득했다.

연구자는 "이 사업을 통해 뇌기증자의 사후 뇌조직과 이들의 생전 임상 및 영상정보와 인체자원을 모두 갖춘 치매 뇌조직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고도화된 치매 뇌조직의 확보는 향후 치매 진단 정확성 개선은 물론 치매 조기 진단 및 치료제 개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디멘시아뉴스 최봉영 기자(bychoi@dementianew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