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치료제 개발, 정부지원 임상 매년 증가세
알츠하이머치료제 개발, 정부지원 임상 매년 증가세
  • 최봉영 기자
  • 승인 2021.08.05 17: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체 임상 중 정부 자금지원 관련 임상이 약 절반

알츠하이머 신약 개발에 정부 자금 지원을 활용하는 사례가 과거보다 크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 년전만 하더라도 민간기업이 개발의 중심이 됐으나, 최근에는 그 중심축이 정부 지원 쪽으로도 나눠지고 있다.

최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미국 네바다 대학의 제프리 커밍스(Jeffrey Cummings) 교수가 공개한 'Alzheimer's disease drug development pipeline: 2021'을 토대로 임상시험 추진추체별 임상건수를 분석했다.

2021년 기준으로 전체 임상을 봤을 때 민간기업 주체 임상이 49%, 대학의료센터 29%, 공공-민간 파트너십 14%, 기타 후원이 7%였다. 대학의료센터에서 진행하는 임상 대부분은 미국국립보건원 지원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정부 지원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학술의료센터와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합하면 그 비율은 43%에 이른다.

알츠하이머치료제 개발은 크게 질환조절약제(disease-modifying therapies, DMTs), 인지개선(cognitive enhancement) 목표의 약제, 신경정신행동증상(neuropsychiatric and behavioral symptoms) 치료 목표 등으로 나뉜다.

연도별 현황을 보면, 정부 지원을 받는 임상의 수가 매년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히 나타났다.

질환조절약제 개발을 위한 임상의 경우, 2016년에는 민간기업이 주도하는 임상이 51개였다. 대학의료센터와 공공-민간 파트너십은 각각 19개와 7개에 불과했다. 2020년에는 민간기업 주도 임상이 50개였으며, 대학의료센터와 공공-민간 파트너십은 각각 36개와 21개로 크게 늘었다.

인지개선약물도 경향은 비슷했다. 2016년에는 민간기업 주도 임상이 12개였으나, 2020년에는 4개로 줄었다. 반면 대학의료센터는 5개, 공공-민간 파트너십은 1개였다. 민간기업의 비중이 크게 축소되고, 정부의 비중이 확대된 셈이다.

신경정신행동증상 치료를 목표로 하는 약제도 마찬가지였다. 2016년 민간기업이 10개 임상을 주도했으나, 2020년에는 8개로 줄었다. 반면 대학의료센터는 2개에서 7개로 늘었다.

치매환자는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여기에 소요되는 사회적 비용도 큰 폭으로 늘고 있다. 정부가 치매약 개발을 적극 지원하는 이유도 이 같은 사회적 비용을 감소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치매치료제 개발에 대한 지원이 향후 늘어나는 사회적 비용보다 적다는 판단 때문이다.

특히 치매약 개발에는 천문학적인 비용 뿐 아니라 기간도 오래 걸려 다수업체가 치료제 개발을 중도 포기하는 사례도 허다하다. 이에 따라 치매치료제 개발을 끝까지 이어가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정부의 역할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Primary Source

Cummings J, Lee G, Zhong K, Fonseca J, Taghva K. Alzheimer's disease drug development pipeline: 2021. Alzheimers Dement (N Y). 2021 May 25;7(1):e12179. doi: 10.1002/trc2.1217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