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기능과 돌봄기술 향상 등 새로운 과제 제시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이 2년을 지나면서 새로운 역할과 기능의 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장기적인 치매관리정책 발전을 위해서는 사람중심가치, 지역사회 통합돌봄 연계, 종사자 전문역량 제고 및 처우 개선과 돌봄기술 활용 등을 기초로 발전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23일 보건사회연구원 유재언 부연구위원은 ‘치매관리정책의 현황과 향후 과제’를 통해 치매관리정책의 변화 방향을 제안했다. 

먼저 치매안심센터의 새로운 역할과 기능 정립이다. 안심센터는 치매국가책임제의 핵심 전달체계이자 허브로 가장 큰 예산이 투입되는 곳이기 때문에 중요성이 높다. 

현재 일정 부분 안정기에 들었지만, 설치 완료와 인력, 채용 및 처우, 치매안심통합관리 시스템, 성과평가 등과 관련해 조속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재했다는 평가다. 

또 중앙 및 광역치매센터의 기능과 역할의 구체적인 정립과 시군구 안심센터가 의료제도와 의료기관,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과 지역사회 통합 돌봄의 큰 체계로 자연스럽게 자리매김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치매에 대한 지식과 환자 치료 및 돌봄 전문성, 치매환자 가족에 대한 이해 향상도 필요 과제로 지목됐다. 

앞서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과 치매국가책임제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상담과 휴가제를 지원했지만 구체적이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치매관리정책에서 치매는 원인 및 유형, 행동심리증상, 중증도에 따라 세분화와 돌봄도 주기를 나누는 데 비해 가족은 단지 가족으로만 지칭되면서 다양한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치매 돌봄에 대한 관점과 패러다임을 전환해 새로운 가치이자 기회로 활용하는 사고의 전환도 제안했다. 

치매 환자가 불가피하게 존재할 수밖에 없고 국가와 사회가 돌봐야 하는 상황이므로 치매 돌봄을 국가와 사회에 비용 부담을 주는 위기로만 봐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유재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보건의료, 건강, 돌봄은 사람이 담당해야 할 핵심적인 영역”이라며 “치매관리정책도 돌봄서비스와 종사자, 돌봄기술, 연구·개발, 돌봄 산업 활용에 대한 관점을 전환하고 돌봄의 가치의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