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미국·영국 사례에서 배울 점은?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미국·영국 사례에서 배울 점은?
  • 최봉영 기자
  • 승인 2020.08.25 1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초 연구개발 집중·인프라 구축 등 필요

앞으로 9년 간 약 2,000억원이 투입되는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이 본격 개시를 알렸다.

이 사업의 중장기 목표는 치매 발병을 5년 지연시키고, 의료기기·제약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5%를 달성하는 것이다.

한국은 이제 막 정부 주도의 대규모 치매 연구개발이 시작됐으나, 의료 선진국으로 알려진 미국이나 영국 등은 한국보다 앞서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 박재은·노경환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미국·영국의 치매 연구개발사업과 비교를 통해 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안했다.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은 향후 9년간 예방·진단·치료 분야에 총 1,987억원(국고 1,694억원, 민자 293억원)을 투입하게 된다.

분야별로 ▲원인규명 및 발병기전 연구 45개 과제 451억원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 26개 과제 508억원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 34개 과제 609억원 등이다.

◆미국·영국의 국가차원의 투자= 국내에서 치매 관련 연구에 투자하는 비용은 연간 200억원 수준이지만, 미국과 영국의 연간 투자 규모는 한국의 수십배에 달한다.

미국은 2011년에 치매대응을 위한 연방법을 제정하고, 2012년에 국가계획을 수립했다. 국립노화연구소(National Institute on Aging, NIA) 등을 통해 치매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치매 예방 및 치료법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미국에서는 NIA 예산으로 치매 연구보조금을 지원할 뿐 아니라 2015년부터 별도 예산을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IH)에 배정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21년 NIA와 NIH의 치매 예산은 각각 32억3,000만달러(한화 3조8,330억), 25억6,000만달러(3조)에 이른다.

영국은 2012년 치매 대응 국가계획을 발표한 이후 2016년에 관련 정책을 개정해 장기계획을 수립했다. 영국은 치매환자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마련하고, 2020년까지 치매 연구개발 대표 국가로 발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영국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7억3,000만파운드(1조1,300억원)를 투자하고, 2025년까지 투자를 2배 증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치매 발병기전 기초 연구개발에 집중= 치매 질환은 전세계에서 다양한 가설을 활용해 원인규명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명확한 원이이 밝혀지지 않아 치료제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발병 기전 연구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분화해 기초 연구에 중점 투자가 필요하다고 연구자는 제안했다.

미국은 발병기전과 예방·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를 세분화해 국가지원과제를 공모하고, 연구에 필요한 기간·시간순으로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연구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 구성= 해외에서는 치매 연구개발 관련 인프라를 구축해 다양한 연구자원을 활용 중이다.

미국은 NIA가 지원하는 치매환자 코호트 및 뇌은행을 통해 3,000여개의 뇌조직 샘플을 확보해 AMP-AD (Accelerating Medicines Partnership-Alzheimer’s Disease) 지식포털을 통해 연구자에게 제공한다.

영국은 10만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바이오뱅크에 투자하고 자발적인 등록을 기반으로 치매환자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뇌조직·환자정보 등 연구자원을 수집할 인프라 구축에 제약이 있어 법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또 단기적으로는 해외자원 확보를 위해 국제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자는 제안했다.

◆사업 진척의 주기적 점검= 치매 연구개발과 정책 이행에 장기간이 소요됨에 따라 해외에서는 주기적으로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있다.

미국은 정기회의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보건복지부와 연방정부가 국가계획을 주기적으로 개정한다. 영국에서도 국가계획에 대해 2018년 중간점검을 실시해 계획 후반부에 달성해야 할 목표를 재정립했다.

연구자는 "이번 사업단 출범으로 범부처 차원의 협업과 통합 지원이 장기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궁극적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성과 점거과 계획 조정 등을 위한 체계적인 로드맵 수립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