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사베이
픽사베이

 

실제 투입되는 비용 미미 - 단기적 호재도 없어

정부가 최근 치매 연구·개발비로 1조원의 투입한다는 발표에 관련 주식들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일명 치매 수혜주로 평가되고 있는 업체들은 치매치료제를 판매하는 제약사나 개발업체, 진단기기 업체, 원료의약품 업체 등이다.

과연 정부의 이번 발표가 정말로 이들 업체에 호재가 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벌써부터 장밋빛 기대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최근 주식 시장은 미국발 악재에 따라 주가가 급락하고 있다. 이런 와중에 화일약품, 환인제약, 동구바이오제약, 명문제약, 현대약품, 고려제약, 네이처셀 등 일명 치매수혜주들의 주가는 정부의 1조원 투자 발표 이후 적게는 10% 많게는 100% 가량 주가가 급등했다.

정부 정책의 수혜가 기대된다는 의식이 팽배해 있는 것이 주가 상승의 주된 이유다. 각 업체들도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치료제나 기술 등이 치매 정책과 관련 있다는 것을 자료를 배포하며, 치매 수혜주에 편승하기 위한 노력도 눈물겨운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 정책을 뜯어보면 당장 치매 수혜주로 평가받고 있는 업체들에 직접적인 도움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우선 정부 예산 투입 시기는 2020년부터 2029년까지로 본격적인 투자가 이뤄지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

또 투자 비용 1조 중 업체들에게 직·간접적으로 투자되는 정부 예산도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 것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정부가 치매연구개발에 사업에 투자하는 예산 규모는 총 1조1,054억원이다. 세부적인 분과로는 ▲원인규명 및 예방 ▲혁신형 진단기술 ▲맞춤형치료기술 ▲체감형 돌봄 ▲인프라 구축 등 5개다.

이 중 맞춤형 치료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가 치매치료제와 직접적으로 관련한 분과다. 여기에 투입되는 비용은 총 2,123억원이다.

맞춤형 치료 기술은 세 가지 분야로 또 나뉜다. ▲근원적 치매 신약 개발 ▲조기 임상진입 치매 신약 개발 ▲비약물 치매치료 기술 개발 등이다.

여기에서 비약물 치매치료 기술 개발 분야를 제외한 두 가지가 치매치료제와 관련된 투자인 셈이다.

예산을 뜯어보면 근원적 치매신약 개발에는 1,079억원, 조기 임상진입 치매 신약 개발에는 605억원이 투자된다. 세부사업 비용을 합하면 1684억원이다.

1,684억원의 비용 중 400억원 가량은 민간이 투자해야 하는 비용이다. 실제 치매치료제 개발과 관련된 직접적인 정부 투자 비용은 1,300억원 가량에 불과하다.

이 예산은 10년 간 분산돼 투자되는데 연도별로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보면 해마다 약 130억원 가량의 정부 투자가 진행되는 셈이다. 이 예산 중 직접적인 임상에 투입되는 비용도 있겠지만 이는 다양한 연구 과제 중 일부분에 불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투입되는 예산 규모도 다른 정부 사업과 비교해서 아주 큰 편은 아니다. 1조원이라는 금액에만 집중해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치매수혜주로 평가되고 있는 업체의 주가는 정부의 치매 연구 1조원 투입 발표 이후 시장 평균을 훨씬 상회하며 상승 중이다.

정부의 정책 발표는 사실상 단기적인 성과를 이뤄내기 힘든만큼 장기 수혜가 기대되는 업체 위주로 옥석을 가릴 필요가 있어 보인다.

디멘시아뉴스 최봉영 기자(bychoi@dementianews.co.kr)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