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전화 알림 서비스 복약 순응도 향상 효과 '미미'
자동 전화 알림 서비스 복약 순응도 향상 효과 '미미'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2.12.07 1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지 장애 환자 순응도 향상 알림 도구 개발 필요성 제시
출처.대한치매학회지

자동 전화 알림 서비스를 통한 복약 순응도 개선이 인지 장애 환자에게는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인지 장애 환자의 복약 순응도 향상을 위해서는 생활 특성과 행동 경향 등 다방면을 고려한 새로운 알림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복약 순응도는 의사가 처방한 약을 환자가 정확하게 복용하고 의사, 약사, 간호사의 충고나 지시를 따르는 정도의 척도로 인지 저하자에게는 치매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최근 세브란스병원 교육훈련과 김문정 전공의(제1저자) 등은 대한치매학회지에 '자동 전화 알림을 활용한 고립 인지 장애 환자의 약물 순응도 개선'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자동 전화 알림 서비스가 복약 순응도 향상과 인지 기능 저하 감소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진행됐다. 

연구의 핵심은 이렇게 요약된다. 자동 전화 알림 서비스의 사용이 일반 그룹과 인지 장애 그룹 모두에서 유의미한 복약 순응도의 개선 효과로 이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알림 서비스 준수 여부와 알림 방식에 따라 복약 순응도가 유의미하게 차이 났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를 토대로 인지 장애환자를 위한 별도의 자동 전화 알림 서비스 개발과 제공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일반 그룹과 인지 저하 그룹에서 복약 순응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전화 응답률이 70% 이상인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하위 그룹 분석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복약 순응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개입: 94.6%; 대조군: 90.2%, p =0.0478). 쉽게 말해 전화 응답률이 높을수록 복약 순응도 역시 향상된다는 이야기다. 

연구진은 자동 전화 알림 서비스의 효과 분석을 위해 혼자 살거나 인지 장애가 있는 배우자와 함께 사는 경도인지장애 또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실험 대상으로 채택했다. 

이를 통해 30명의 참가자를 모집해 무작위로 실험 그룹에 할당했다. 이후 탈락자 1명을 제외한 29명의 참가자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평균 연령은 79.6세며 전체 인원의 79.3%가 여성이었다.

대조군은 6개월 동안 자동 전화 알림 서비스를 통해 투약 여부를 관리받았다. 반면 통제 그룹은 매달 약을 복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지침만을 전달받았다. 별도로 참가자들은 연구의 시작과 마지막 단계에서 신경심리학적 평가인 CERAD-K를 실시했다. 

연구진이 복약 순응도 개선을 위해 자동 전화 알림 서비스를 채택한 이유는 ▲높은 접근성 ▲교육 수준과 상관없는 쉬운 활용법 ▲비디오 장치 또는 자동 알약 디스펜서와 비교해 높은 비용 효율성이다. 

하지만 이 같은 장점에도 자동 전화 알림 서비스의 많은 단점이 노출됐다. 

먼저 전체 개입 집단은 전화 알림 서비스에 대해 51.3%의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전화를 받지 않는 게 낮은 응답률의 주된 원인이었다. 또 녹음된 음성을 잘못 이해하거나 외출 중인 경우도 다수였다.

연구진은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연구의 표본 부족으로 연구 결과의 확대 해석과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는 이유다. 

차후 연구에 적용할 개선점도 되짚었다. 약을 복용할 때 다른 간병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 참가자를 등록하고자 했지만, 간병인의 개입을 완전히 통제하진 못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연구의 결과에 대해서는 전화 알림 서비스의 긍정적인 효과와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김문정 전공의는 "그동안 인지 장애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개선하기 위한 개입 시도가 거의 없었다"며 "해당 연구는 인지 저하자를 위한 알림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과 향후 추가 연구의 이유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논문>
Kim MJ, Song JY, Jang JW, Lee SY, Jhoo JH, Byeon GH, Kim Y.   Improving Medication Adherence in Isolated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Using Automated Telephone Reminders.   Dement Neurocogn Disord. 2022 Oct;21(4):117-125.   https://doi.org/10.12779/dnd.2022.21.4.117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