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 기능강화 … 치매관리서비스 질적 향상 도모
2018년부터 매년 평가 실시 … :수준 높은 치매관리서비스 제공할 터“
보건복지부는 지역 치매관리 핵심기관인 치매안심센터의 치매관리서비스 질적 향상을 위해 운영평가를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치매안심센터 운영평가는 2019년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 설치 완료 이후 최초로 실시하는 것으로, 치매안심센터 기능 및 역할에 맞는 사업수행과 질적 관리 강화를 위해 실시한다.
우선 1차로 7월부터 9월까지 130개소를 평가하고 2차로 내년 2월부터 4월까지 126개소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다.
평가항목은 ▲치매 인프라 구축 ▲치매서비스 제공 및 관리 ▲지역 치매역량 강화 등 3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건복지부,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 중앙·광역치매센터 및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평가위원이 서면평가, 현지평가, 데이터조사, 설문조사를 통해 치매안심센터를 다각도로 평가하게 된다.
복지부는 치매안심센터 운영평가 결과에 따라 상위 기관에는 우수기관 포상 등을, 하위 기관에는 맞춤형 컨설팅을 실시하여 치매관리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17개 광역치매센터 대상으로 지역 치매관리사업 조정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강화하기 위해 2018부터 매년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염민섭 복지부 노인정책관은 “치매안심센터 운영평가와 컨설팅을 통해 치매안심센터 기능을 강화하고 국민에게 수준 높은 치매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서울 자치구, 지역 특성 맞는 치매조기검진 프로그램 '호평'
- “연간 치매환자 증가속도 50% 감소, 믿어도 좋아요”
- 날씨 풀리자 치매 어르신 실종 사고 잇따라 … 자칫 큰 사고로 이어져
- [노동훈 대한요양병원협회 홍보위원장] “경영난으로 고사 직전이에요”
- 일부 치매안심마을, 중증 치매환자 대상 프로그램 없어 … 실효성 논란
- 초고령화 사회 맞아 ‘품격있는 죽음’ 원해 … 100세시대 현실
- 2023년 노인보건복지사업 핵심은 '치매국가책임제' 지우기?
- 치매안심병동 인센티브 제공 2차 시범사업, 24개소 확정
- 치매안심주치의제 전국 확대 시동, "치료 시기 놓치지 마세요"
- 실종 치매환자, ‘골든타임 24시간’ … 지난해 1만4,500여명 실종 접수
- 지자체, 치매 최신기술 도입 확대…"치매로부터 지역민을 지켜라"
- 초고령사회, 돌봄 로봇 뜬다…노인의료비 2030년 90조원 돌파
- 복지부,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목소리 '청취'
- ‘영혼의 停電(정전)’ 치매…"당뇨‧고혈압을 잡아라"
- 고령화로 치매환자 증가 … 보험업계, 치매·간병보험 출시 잇따라
- 지역 맞춤형 복지,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업 꽃필까?
- 시대 과제 급부상 노인돌봄, 치매 확대 등 교통 정리 '필수'
- 치매 가족력, 생활 습관 통해 치매 위험 극복할 수 있어
- 복지부, 치매안심센터 48곳 선정…12억 7,000만 원 지원
- 광주 북구, 복지부 '치매 관리 프로그램 우수기관'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