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감소로 교육업계 장기 요양 사업 박차
학령인구 감소로 교육업계 장기 요양 사업 박차
  • 박원빈 기자
  • 승인 2023.11.07 15: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질적인 성장 예상되지만, 영세기관 도산 우려
수급자 욕구 충족 위해 요양보호사 역활 강화해야
지난 1월 경기 광명시에 문을 연 대교 ‘데이케어센터 1호점’에서 어르신들이 요양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 대교
지난 1월 경기 광명시에 문을 연 대교 ‘데이케어센터 1호점’에서 어르신들이 요양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 대교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초·중등 교육 시장이 좁아지는 가운데 교육업계가 노인 돌봄뿐만 아니라 치매 예방, 방문 요양, 장례 서비스 등 시니어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노인 장기 요양산업의 질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하지만 대기업의 요양산업 진출로 영세한 요양기관들의 도산 우려가 예상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대교의 올해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2% 줄어든 1615억원, 영업이익 –68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손실은 전년보다는 적자 폭을 36.4% 줄였지만 2021년 3분기 이래 9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1월 대교 뉴이프 데이케어센터 1호점 광명센터 오픈식 / 대교
지난해 1월 대교 뉴이프 데이케어센터 1호점 광명센터 오픈식 / 대교

교육 사업은 적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대교가 지난 7월 독립 법인으로 설립한 ‘대교 뉴이프’는 순항 중이다.

대교 뉴이프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데이케어센터·방문요양센터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매출액은 지난해 3분기 3억원에서 올해 3분기 13억원으로 늘었다.

국내 고령자 층이 늘어남에 따라 사업은 올해 6월 기준 대교뉴이프 장기요양사업 전체 수급자수는 지난해 12월 대비 약 340% 늘어났다.

또한, 대교는 대교타워 본사에 요양보호사를 양성하는 교육원을 개설했다. 노인 가정을 방문해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요양센터도 설치하는 등 각종 사업을 진행 중이다.

장기 요양보험 제도와 결합해 시니어 서비스 시장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하겠다는 게 대교의 전략이다.

현재 대교뉴이프는 데이케이센터 5곳, 방문요양센터 3곳, 요양보호사 교육원 3곳을 운영 중이며 서울 은평, 부산, 창원에 방문요양센터를 추가로 개설할 계획이다.

교원그룹은 지속적 성장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교육 사업 외 건강 가전, 여행, 상조 등 생활문화 사업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특히 교원은 시니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검토하고 있는데 고령자를 위한 치매 예방 교육 등을 포함한다.

박형규 한국치매교육협회장은 “대기업의 요양사업 진출은 당연한 현상이다”라며 “우려되는 점이 있다면 한국은 전체 요양시설의 75%가 영세한 개인사업자들로, 이들이 '생존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요양이나 장례서비스가 대기업의 참여로 더욱 질이 좋아지는 것은 고무적이나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인력수급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금까지 정부가 제대로 하지 못한 돌봄의 역할을 민간 영역에서 해왔는데, 대자본이 본격적으로 진출하게 되면 기존의 민간 시설들은 피해가 명약관화하다"라며 "대기업으로부터 골목상권을 보호하듯 기존에 애써온 민간의 영세한 복지기관들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장기요양서비스 수급자 욕구 충족 위해 요양보호사 역할 강화해야

장기요양서비스의 수급자인 노인들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선 요양보호사의 역할을 강화해야 하고 이를 위해선 요양보호사에게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기관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전경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전경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 경승구 부연구위원은 지난 4월 발행한 건강보험연구원 웹진 이슈앤뷰(Issue&View)에서 ‘요양보호사 역량 강화를 위한 우선 교육 대상 직무 탐색’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경승구 부연구위원은 “요양보호사는 제공하는 급여유형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직무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률적인 교육을 제공받고 있으며, 건보공단에서 제공하는 직무교육도 급여유형별 특성을 고려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라며 “현재 요양보호사 직무는 법과 공식적인 기록지 등을 살펴보아도 급여유형별로 명확하게 분류돼 있지 않은 상황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에게 적절한 급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급여유형별로 직무 유형을 분류하는 것이 우선될 필요가 있으며, 경력 및 숙련도를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 제공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면서 “일본의 경우, 홈헬퍼는 양성교육은 각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기술과 상황별 대응 방안 등의 기본교육을 제공하고, 직무교육에서는 수강자 각자의 특성과 경력을 고려해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 = 픽사베이
사진 = 픽사베이

장기요양서비스는 다양한 환경에서 노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급자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해야 하는 만큼 급여유형별로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에 차이가 있으나, 교육은 이 같은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일률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 경 부연구위원의 설명이다.

앞으로 다양한 욕구를 지닌 베이비부머의 진입을 고려,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요양보호사가 필요로 하는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경승구 부연구위원은 “요양보호사 특성을 고려한 다양하고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제공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급여유형별ㆍ경력에 따라 교육 대상 직무가 다르게 도출된 만큼, 직무교육 또는 보수교육 시 요양보호사가 자신에게 더 필요한 교육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필요가 있고, 난이도 역시 선택할 수 있도록 교육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욕구에 맞춰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과 함께 제도 개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교육 참여의 기회가 공평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접근성 향상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보수교육을 도입해 교육받는 것이 의무화되면 교육에 대한 접근성이 전반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