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현국·왕성민 교수팀 "OAβ, 알츠하이머병 초기 증가하다 중증도 높아질 때 다시 낮아져"
국내 연구진이 혈장(Plasma) 아밀로이드 베타 올리고머화(Oligomeric Amyloid-β, OAβ)와 알츠하이머병 단계의 상관관계를 입증한 연구 결과를 내놨다.
2일 국제 학술지 ‘알츠하이머즈 리서치 앤 테라피’(Alzheimer’s Research & Therapy)에 따르면, 임현국·왕성민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교수팀은 알츠하이머병의 여러 단계에 따른 OAβ 수준을 조사하고, OAβ와 대뇌 Aβ 침착, 인지기능, 피질 두께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혈장 OAβ과 뇌 자기공명영상(MRI), 신경인지 측정, 대뇌 아밀로이드 베타 침착 또는 아밀로이드 양전자방출단층촬영(A-PET)을 받은 총 126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참가자들은 정상 대조군(39명), A-PET 음성 경도인지장애(MCI) 환자(31명)와 양성 환자(30명), 알츠하이머치매 환자(22명) 4그룹으로 나눴다.
연구 결과 A-PET 양성 MCI 환자그룹에서 OAβ 수치가 가장 높았다. 알츠하이머치매 환자그룹은 대조군보다는 높았지만 A-PET 음성 경도인지장애(MCI) 환자그룹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OAβ는 알츠하이머병의 여러 단계에 걸쳐 대뇌 Aβ 부담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 정상인과 MCI 환자 사이에서는 OAβ와 대뇌 피질 두께 사이에 음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OAβ 검사가 알츠하이머병 초기 선별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그 결과와 대뇌 Aβ 축적 및 중등도와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아 실제 임상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연구는 혈장 OAβ 정도가 알츠하이머병 초기에는 증가하나 중증도가 높아질 때 다시 낮아진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알츠하이머즈 리서치 앤 테라피 최신호에 <Plasma oligomer beta-amyloid is associated with disease severity and cerebral amyloid deposition in Alzheimer’s disease spectrum>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Primary Source
Wang, SM., Kang, D.W., Um, Y.H. et al. Plasma oligomer beta-amyloid is associated with disease severity and cerebral amyloid deposition in Alzheimer’s disease spectrum. Alz Res Therapy 16, 55 (2024).
- 치매 진단‧예측 기술 속속 개발 … 신약 개발‧연구 활용 가능
- 레켐비 도입 가시화, 수혜 기술 업체들 준비 태세 '분주'
- [2022년 결산] 치매 산업 도약기…진단, 예방-관리 등 눈도장
- 피플바이오, 알츠하이머병 혈액검사 브랜드 '알츠온' 론칭
- 경도인지장애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제안 "기술 발전 반영"
- 레카네맙이 불러온 나비효과, 피플바이오 '화색'
- 레카네맙 임상 성공 소식에 치매 업계 '들썩'…관련주 상승세
- 혈액진단키트 개원가 관심 'UP'…게임체인저될까?
- 시장성 높은 알츠하이머 혈액진단 '글로벌 경쟁 본격화'
- 아두헬름의 저주?…상승 동력 잃은 치매 관련주들
- 日 연구팀 “사회경제적 지위 오르면 치매 위험 줄어든다”
- 英 연구팀 “사후 알츠하이머병 환자 뇌에서 분자 구조 특징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