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치매 환자의 삶의 질 제고 보고서 발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치매진단 환자 중 실제 치매를 앓고 있는 환자는 75%에 불과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 능력을 향상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진료를 줄이기 위해서는 1차의료 인력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0일 경제협력개발기구는 이 같은 내용의 '치매환자의 삶의 질 제고 보고서’를 발간했다.

자료에 따르면, 인구 고령화에 따라 OECD 국가 치매 환자는 2017년 1,870만명에서 2050년 4,09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치매 의료·사회적 비용은 연간 1조 달러를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OECD는 각국의 치매 정책 현황과 도전요인을 분석해 치매 케어의 효과 제고와 사회적 비용 절감, 치매 환자와 보호자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을 권고했다.

우선 치매진단 개선을 위해서는 1차의료 인력에 대한 역할 강화를 주문했다. 1차의료 인력은 치매 진단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나, 역량과 지원이 불충분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 일례로 치매로 진단을 받은 환자 중 실제 치매 환자인 비율은 75%에 불과했다.

일차의료 인력의 치매 진단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임상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실제 OECD 국가 중 16개국이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개발 중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OECD 17개국에서 의사를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평생 의학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를 의무화한 국가는 없으며, 교육 참여율도 낮았다. 교육 접근성에 있어서도 지역 간 격차가 컸다.

연구자는 "치매에 대한 교육을 의무적인 평생교육으로 도입하거나, 교육에 참여하도록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며 "스웨덴은 치매 케어 석사 과정을 운영해 교육의 가치를 제고했으며, 덴마크는 교육 참여시 재정적 보상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OECD 국가 중 국가 차원에서 치매 진단율을 규명할 수 있는 국가는 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의료 데이터 연계가 불충분한 데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일차의료 데이터를 여타 의무기록과 연계해 의료의 질 및 성과를 모니터링하는 국가는 10%에 불과해, 1차의료 영역의 데이터가 다른 의료데이터와 연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향후 재정 부담 감소 등을 위해 치매 진단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내놨다. 연구자는 "치매 진단에 대한 접근성 제고는 OECD 다수 국가의 정책 우선순위이며, 일부 국가에서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실제 영국의 경우 치매진단율 제고를 위한 목표수립 이후 2010년 42.6%에서 2017년 67.6%로 진단율이 크게 상승했다.

연구자는 "적시에 치매 진단이 이뤄지면 약물 치료뿐 아니라 사전 케어 계획, 생애 말기 케어 및 사후 계획 수립을 지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디멘시아뉴스 최봉영 기자(bychoi@dementianews.co.kr)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