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치매에 비하면 부족한 수준…적극적 홍보방안 고려해야

지난해 치매 추정 노인실종 신고가 가장 많이 접수된 지역은 서울이다. 지난해만 2,730건의 실종 신고가 접수됐다.

전문가들은 치매노인 실종을 막기 위해서는 치매 인식표와 실종대응카드 보급이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렇다면 서울지역 보급 현황은 어떻게 될까?

16일 중앙치매센터의 연도별 기관 치매 인식표 신청건수 현황에 따르면 2017년도 서울지역에서 신청된 인식표 및 실종대응카드는 총 2,608건으로 나타났다.

해당 현황은 치매환자 가족이나 보호자 등이 신청한 건수로 전국 총 배포는 1만8,825개다.

지난 2016년 서울지역 총 신청인 3,192개와 비교해 2017년도 2,608건은 584개 감소한 수치다. 치매환자 증가를 생각해보면 신청이 감소했다는 사실은 다소 의아한 수준인 셈이다.

각 구별 보건소 현황을 보면 ▲강남구 90건 ▲강동구 222건▲강북구 132건▲강서구 98건 ▲관악구 146건▲광진구 45건 ▲구로구 58건▲금천구 79건 ▲노원구 109건▲도봉구 119건▲동대문구 170건 ▲동작구 67건▲마포구 88건▲서대문구 65건 ▲서초구 149건▲성동구168건▲성북구 95건▲송파구 27건▲양천구 71건▲영등포구 151건▲용산구 199건▲은평구 50건▲종로구 57건▲중구 44건▲중랑구 109건이다. 각 구당 평균 신청은 104.32개다.

실종대응카드는 환자 가족이나 보호자가 신청에 의해 발급하도록 하고 있어 보호자들이 실종 등에 미리 대비해 이를 필수적으로 발급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실제 중앙치매센터가 발간한 대한민국 치매현황에 자치구별 치매추정 노인 비율을 봐도 기관별 인식표 신청 건수와 다소 차이가 있다.

서울에서 가장 높은 치매추정 노인비율을 보인 종로구와 용산구도 각각 125건, 242건에 신청에 그쳤다. 치매 추정률이 낮은 타 구가 가장 많은 신청자를 기록한 것을 비춰보면 실종대응카드 분배에 사각지대가 존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치매 인식표와 실종대응카드의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서 신청자들이 제도를 인식하고 사전에 신청할 수 있도록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의료계는 인식표 보급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활동이 이뤄져 보급률이 높아져야 사전에 실종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의료계 관계자는 “치매노인 실종방지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지만, 인식표와 대응카드 같은 기초적인 방법은 꾸준히 준수해야 한다”며 “치매환자 가족이 인식표와 실종대응 카드를 인식하고 실종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디멘시아뉴스 조재민 기자(jjm5352@dementianews.co.kr)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