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중 여성 환자 66%로 영양 불균형 더 심해...노인 빈곤 해결 시급
美 연구팀 "영양 지원 제도, 고령 취약계층 수급자 인지저하 2~3년 늦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 / 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 / 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국내 영양실조 환자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의 영양 불균형은 인지 저하나 치매 발병과도 연관이 있다는 최근 연구 결과도 있어, 노인 빈곤 문제 해결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영양실조로 진료를 받은 환자(9,523명)의 50.5%(4,806명)가 65세 이상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여성 환자는 66.1%(3,178명)로 영양 불균형이 더 심각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5~69세 728명 ▲70~74세 795명 ▲75~79세 965명 ▲80~84세 966명 ▲85~89세 776명 ▲90세 이상이 576명으로 조사됐다.

전체 영양실조 환자는 연간 기준 2022년 1만 3,915명에서 2023년 1만 6,640명, 지난해 1만 6,879명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고령 환자 비중은 2022년 52.1%, 2023년 49.2%, 지난해 47.2%로 감소하다가 올해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아울러 65세 이상 환자의 연간 영양실조 진료비는 2022년 약 23억 원에서 2023년 약 26억 원, 지난해에는 24억 원 규모였다. 올해 상반기까지는 약 15억 원을 기록했다.

국내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이 40%에 달하는 상황에서 노년 취약계층의 영양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2025 알츠하이머협회 국제 콘퍼런스(AAIC 2025)’에서는 미국 취약계층 대상 공공 영양지원 제도(Supplemental Nutrition Assistance Program)’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 제도는 미국 농무부(USDA)가 운영하는 복지 프로그램으로, 2023년 기준 전체 수급자 중 약 20%를 차지하는 60세 이상 고령자에게 식품 구매 비용을 지원했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수급 고령층이 비수급 고령층보다 인지 저하 속도가 연간 0.1% 늦었다. 이를 10년간 누적 효과로 환산하면 인지 저하를 평균 2~3년 늦출 수 있다는 해석이다.

전진숙 의원은 “젊었을 때 자식을 위해 허리띠를 졸라매며 살아왔던 세대가 노년에 경제적 빈곤으로 영양결핍에 시달리고 있다”며 “이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구조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는 고령층이 최소한의 영양과 건강을 지켜낼 수 있도록 더 촘촘한 복지 안전망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