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포스트 코로나 대비…치매영역도 변화 예고 
전 세계 포스트 코로나 대비…치매영역도 변화 예고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0.07.24 17: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 예방-관리부터 돌봄까지 전반에 걸친 비대면 강화 

전 세계와 국내사회 전반에서 포스트 코로나에 맞춰 대변화가 예고되면서 치매 영역에서도 적지 않은 변화가 감지된다. 

치매 영역의 경우 감염병 고위험군인 고령층이 주요 대상인 점과 예방과 관리-돌봄 등 대부분의 서비스가 인력을 통해 제공되는 만큼 변화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결론부터 보면 AI(Artificial Intelligence)나 온라인 교육을 통한 비대면 관리와 단체가 모인 요양시설 이외에도 거주지 중심 맞춤형 돌봄, 돌봄 인력 감염기준 강화 등이 전망된다.

24일 의료계 등 관련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치매 영역의 수많은 변화가 예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일상생활 플랫폼에 탑재된 AI 등으로 스마트 생활의 변화가 진행 중이었지만, 이번 코로나 사태로 더욱 가속화되는 중이다. 

먼저 치매안심센터 등 치매관리 공공기관의 변화다. 센터에는 다수의 인원이 모이고 대면-단체 서비스 등이 주로 제공됐기 때문에 변화가 불가피한 대표적 기관이다. 

이를 반영하듯 안심센터는 현재 홈스쿨링, 찾아가는 서비스, 물품 배달, 원격 상태 확인 등 다양한 서비스를 코로나 기간 집중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코로나 이후에도 활용될 가능성이 적지 않은데, 이미 용산구 치매안심센터 등은 통신사 KT와 협력해 비대면 인지재활 인공지능 교육장을 최근 개관했다. 

해당 사업은 용산구 시니어 정보통신기술(ICT) 플랫폼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는데, 작업치료사와 접촉을 줄이고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한 훈련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해당 사업은 타지역에 빠른 속도로 벤치마킹될 전망이다. 

돌봄 인력의 강화 기준도 전문가들을 통해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코로나 사태에서 요양병원과 노인시설 등에서 등 고령자들이 모인 곳에서 감염이 다수 일어난 탓이다. 

최근에는 서울 강서구의 요양시설에서 집단감염이 일어나면서, 차후 요양시설 등의 감염관리 역시 정책적으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를 가능성도 커졌다. 

또 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를 통해 방문돌봄 서비스의 경우도 종사자 건강 관련 기준, 감염병 등의 발생 시 조치 기준, 서비스 대상자 특성을 반영한 세부 기준 등을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기도 했다.

다양한 치매영역에서 변화가 감지되는 만큼, 정책적인 부분에서도 관리 현장의 혼란이 없도록 즉각적인 제도 개선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