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파트너 지원법(출처.중앙치매센터)
▲치매파트너 지원법(출처.중앙치매센터)

 

대폭 늘어나는 치매 비용은 숙제-지역별 치매 진단률도 천차만별

전국의 치매환자는 2017년 기준으로 72만 4,857명, 사회적으로 치매인식 개선을 위해 교육을 받은 치매파트너는 48만 5,63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환자가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치매에 대한 교육을 받은 치매 파트너는 지난해 33만2,294명에서 48만5,637명으로 늘어나 사회적인 관심도 집중되고 있었다. 다만 늘어나는 치매 비용을 감당할 근본적인 대책과 지역별 진단율 차이는 여전히 숙제로 남았다.

22일 중앙치매센터는 전국 치매현황인 ‘치매 오늘은’을 홈페이지 게시판을 통해 공지했다.

‘치매 오늘은’은 일반인들에게 치매현황에 대해 소개하고, 각종 지방자치단체 및 기관 및 단체들이 이를 비교 분석해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다.

치매환자의 경우 2016년 68만5,739명으로 10%의 유병율을 기록했고, 2017년에는 72만4,857명으로 10.2%의 유병률을 보이며 1년 사이 4만 가량의 치매 환자가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13만6,911명으로 가장 많은 치매환자가 머물고 있으며, 서울은 11만5,835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 ▲인천광역시 3만2,916명 ▲충청남도 4만3,402명 ▲세종특별자치시 2,774명 ▲광주광역시 17만780명 ▲전라북도 3만9,154명 ▲전라남도 4만7,328명 ▲제주특별자치도 1만888명 ▲강원도 3만63명 ▲경상북도 5만8,981명 ▲충청북도 2만6,910명 ▲대전광역시1만7,066명 ▲대구광역시 3만2,057명 ▲울산광역시 8,652명 ▲부산광역시 4만9,840명 ▲경상남도 5만4,300명이다.

치매관리 비용의 경우 치매환자 인원이 많을수록 더욱 많이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7년 치매 비용으로는 14조7,396억원으로 서울이 2조3,554억원, 경기도가 2조7,840억원, 경상북도가 1조1,993억원의 치매 비용을 사용했다.

하지만 학계에 따르면 오는 2050년 치매비용이 106조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를 감당할 특단의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국 치매 진단율의 경우 대전광역시와 광주광역시가 100%넘는 진단율을 보였는데 이는 중복검사로 인한 다소 오류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경기도의 경우는 진단율 72.3%을 보였고, 서울은 63.7%의 다소 아쉬운 진단율을 보였다.

이외에 ▲인천광역시 67.2% ▲충청남도 62.4% ▲세종특별자치시 49.4%▲광주광역시 128.7% ▲전라북도 87.0% ▲전라남도 73.6% ▲제주특별자치도 72.1% ▲강원도 53.7% ▲경상북도 62.9% ▲충청북도 62.9%▲대전광역시 100.3% ▲대구광역시 92.0%▲울산광역시 93.8% ▲부산광역시 89.6% ▲경상남도 75.6%를 기록했다.

치매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를 대비할 대책이 요구되며, 치매 진단율이 낮은 지역의 경우 이를 적극 관리할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디멘시아뉴스 조재민 기자(jjm5352@dementianews.co.kr)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