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전문의료기관-일차의료-치매안심센터의 협력체계 강조

급증하는 고령화와 그에 따른 치매환자 관리가 적절히 이뤄지기 위해서는 일차의료 노인건강관리를 바탕으로 민관 기관의 유기적인 협력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복합만성질환 등 각종 노인병증후군과 다약제 복용으로 인한 만성 부작용 발생의 위험을 일차의료기관의 노인환자 관리 과정에서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한림의대 가정의학과 윤종률 교수는 6일 서울대 의생명연구원에서 개최된 ‘2018년 보건의 날 기념 제43회 보건종합학술대회’를 통해 치매관리에서 일차의료의 역할에 대해 밝혔다.
치매국가책임제의 핵심 전략인 치매안심센터를 전국 곳곳에 설립하는 것에 대해 핵심 역할을 어떻게 규정할 지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전문의료기관-일차의료-치매안심센터 등 각 기관이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일을 맡고 이를 바탕으로 기관별 연계가 이뤄져야 치매국가책임제가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윤 교수는 “만성질환 관리와 고위험군 치매선별검사는 1차 의료가 맡고 추가 치매 확진 또는 감별진단이 필요한 경우 2~3차 의료기관으로 의뢰하고 치매안심센터는 치매환자 등록 관리와 지역사회 프로그램 연계, 보호자 및 간병인 교육과 상담이 적절하다”고 강조했다.
즉 1차 의료 기관이 노인환자들의 접근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기존 만성질환을 주로 관리하던 기관을 중심으로 노인건강관리의 한 부분으로써 치매(인지기능장애) 조기 진단과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는 설명이다.
윤 교수는 치매 유병률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근거로 제시했다.
2017년 우리나라 전체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약 10% 정도지만 60대에는 5%에 불구하고 70대부터 10%를 넘어가며 75세 이후 20% 이상 급증하기 때문에 결국 치매환자를 돌보는 것은 만성질환이 수반된 노인을 돌본다는 의미라는 주장이다.
윤 교수는 “문제는 해당 연령대의 노인들이 단지 치매만 많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각종 다른 만성질환의 발생위험도 높다는 것”이라며 “그러므로 치매만 별도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각 기관별 장단과 협력체계를 통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주장에 따라 향후 치매국가책임제에서 치매노인의 만성질환 등 복합적인 관리체계 문제도 중요한 이슈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디멘시아뉴스 조재민 기자(jjm5352@dementi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