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로 떠오른 치유농업…치매와 농업 두 마리 토끼 잡을까?
대세로 떠오른 치유농업…치매와 농업 두 마리 토끼 잡을까?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0.07.28 17: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심센터와 치유농업 지역 간 협업체계가 발전 관건

치매 치유와 농촌 활성화를 목적으로 복지부와 농촌진흥청이 협력을 체계화하면서 국내 치유농장(케어팜) 산업의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치매국가책임제라는 대규모 국가 정책과 올해 3월 공포된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로 치유농업의 발전 토대가 마련됐기 때문이다. 

다만 해외의 지원 사례에 비해 구체적 투자 수단과 정부 지원이 다소 부족해 추가 지원책 추진과 지역 협력체계구축 성공 여부에 따라 확대 가능성도 달라질 전망이다. 

최근 복지부는 농촌진흥청과 협력 MOU 체결을 통해 치매안심센터의 인지기능 강화와 힐링 프로그램 치유농업 활용 확대를 예고했다. 

현재 국내 케어팜 산업의 경우 초기 단계지만, 해외는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기반으로 치유, 교육, 삶의 질 향상 효과를 인정해 국가의 체계적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먼저 네덜란드의 경우 9,500만 유로 규모로 총 1,100개의 농장에서 총 농업생산의 19.3%에 해당하는 농산물을 생산하는 등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네덜란드는 치유농장을 건강보험제도와 연계해 활용 중이며, 건강, 복지, 운동부의 행정, 재정적 지원이 있고, 운영과 제반시설 구축을 위한 투자금에 보조금도 지원된다. 

독일, 일본은 장애인 작업재활 연계해 주로 이용하고 있다. 노르웨이, 벨기에,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등은 국가·지방정부의 보조금이 지급된다. 

이 같은 다양한 지원을 통해 농가소득과 복지서비스 향상,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또 복지비용 절감, 치유요법 등 제도적인 활용도 확대 중이다. 

국내의 경우 안심센터와 치유농장의 결합으로 치매환자 중심으로 우선적으로 지원이 제공될 예정이다. 이에 농업 치유시설 이용료 등 부대비용은 안심센터 예산에서 사용 가능토록 규정했다. 

치유농장의 형태가 치매 환자를 지원하기 위한 형태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는 이야기다. 치매 치료 강화와 농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협업 체계의 원활한 구축이 관건인 셈이다. 

진흥청은 이번 협업의 목적을 식물, 동물, 곤충 등을 매개로 한 농업의 치유기능 상품화를 통해 농업인 소득원 개발과 국민의 정서적 안정 도모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구상된 초기 모델은 치유관광 프로그램 현장적용 등이다. 교류 치유형(삶의 만족도 증가)와 휴식 치유형(주관적 행복감 상승), 운동 치유형(회복 탄력성 및 주관적 활력도 증가) 등으로 나눠진다. 

이외에도 마을로 찾아가는 치매 프로그램과 안심센터-농장 연계 치유농업 프로그램 운영을 확대할 예정이다. 

치매 영역을 중심으로 치유농장의 발전이 예고된 만큼,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에 대한 검증으로 농업 발전과 원활한 연계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