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치매와 스마트도시
[기고] 치매와 스마트도시
  • 박준일 전문의
  • 승인 2020.08.03 08: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준일 이사

박준일 서울시 개원내과의사회 정보통신이사

빈번한 치매 노인 실종이 개인적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이며, 이를 방지위해 여러 IT업체에서 다양한 시스템 및 기기를 출시 시행했지만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치매 환자는 본인 스스로 IT 기기를 조작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심지어 신체에 부착 후 유지조차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결국 쉬운 방법으로 경찰청은 2012년 7월부터 치매노인의 실종 방지를 위해 ‘지문 사전등록시스템’을 갖췄다. 이 시스템은 지문과 사진, 신체 특징, 보호자 인적사항을 등록해 대상자가 실종됐을 때 등록된 자료를 활용해 신속히 구조가 가능하다.

지문등록은 간편하게 이뤄지며, 최근 실제 치매노인 실종이 발생했을 때 평균 1시간 내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효과는 이미 검증됐다. 등록건수가 최근 몇 년 새 급증하고 있다.

발전하고 있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과 빅데이터를 이용해 궁극적으로 인간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스마트도시(Smart City)가 등장하면서, 치매 환자 돌봄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치매 환자는 배회·실종 위험 외에도 가정 내 화재 등 각종 재난에 취약하고 범죄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스마트도시 내에서 안전한 돌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스마트도시는 먼 미래가 아니다. 스페인 나바라 대학이 세계 174개 도시를 대상으로 인적자원, 환경, 기술 등의 지표를 근거로 산출한 2019년 스마트도시 지표 순위를 보면, 1위가 런던(100점), 2위 뉴욕(94.6점), 3위 암스테르담(86.7점)이며 우리나라는 12위(78.1)를 기록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지난 6월 ‘스마트도시법(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고, 이를 근거로 하고 ‘스마트도시 종합계획’을 세웠다. 세종시와 부산시를 국가시범도시로 지정하여 스마트도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도시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지자체들도 실종 방지, 치매 예방 등 다양한 형태로 치매관리 요소를 반영하며 인프라 확대와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향후 스마트도시는 치매환자와 보호자에게 생활, 복지 측면으로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홈 네트워크를 이용해 토털 케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교통이용부터 일상 경제 생활 영위까지 다양한 도움을 줄 전망이다.

 

박준일 약력

서울시 개원내과의사회 정보통신이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외래조교수
동부시립병원 내과 과장 역임
내과 전문의
강남성모병원 인턴/레지던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